트럼프 미국 취업비자 확대는 빅테크에 호재, 우수 기술인력 유치할 기회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업비자 완화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떠오른다. 이는 해외 기술인력을 다수 고용하는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 등 미국 빅테크 기업에 호재로 평가된다.

[비즈니스포스트]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추진하는 취업비자 확대 정책이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빅테크 기업에 수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빅테크들이 해외 기술인력 고용에 가장 적극적 태도를 보이는 만큼 비자 제한이 완화되면 전 세계의 우수 인재를 유치할 기회가 넓어질 수 있다.

1일 월스트리트저널과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언급한 취업비자 정책을 두고 정치권에서 찬반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최근 뉴욕포스트와 인터뷰에서 “미국 H-1B 비자는 훌륭한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이는 해외 국적을 보유한 전문직 근로자에 발급하는 취업 비자다.

외국인 노동자 채용이 미국 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진다는 이유를 들어 H-1B 비자 발급 요건을 강화했던 트럼프 1기 정부와 상반된 태도를 보인 셈이다.

만약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이 취임 뒤 실제 정책적 기조에 반영된다면 미국 기업들이 해외 전문인력을 고용하는 사례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정부에서 최측근으로 자리잡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이와 관련해 “테슬라와 스페이스X 등 기업은 H1B 비자 덕분에 미국을 더 강대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 정치권에서 이런 정책에 반대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어 트럼프 당선인이 실제로 취업비자 규제 완화를 추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업비자 완화 프로그램을 둘러싼 찬반 논쟁은 공화당 및 트럼프 당선인 지지층 내부에서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를 미국 남북전쟁 상황에 비유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빅테크 기업들은 대체로 취업비자 확대를 옹호하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대형 IT기업들이 해외 출신의 기술 인력을 고용하는 데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비자 요건이 완화되면 직접적 수혜를 볼 수 있어서다.
 
트럼프 미국 취업비자 확대는 빅테크에 호재, 우수 기술인력 유치할 기회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기업로고.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이 특히 구글과 테슬라,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들의 H1-B 비자 신청 건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지난해 아마존이 해당 비자를 신청해 승인을 받은 건수는 3871건으로 집계됐고 마이크로소프트는 1264건, 구글은 1058건, 테슬라는 742건으로 각각 나타났다. 애플과 메타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해외 인력 채용이 늘어난 것은 이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경제와 증시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비자 요건 완화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힘을 얻기 어려워질 공산이 크다.

더구나 H-1B 비자를 받은 IT분야 외국인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2023년 기준 13만2천 달러(약 1억9427만 원)로 집계돼 저임금 노동자의 일자리 확보 문제와도 거리가 멀다.

배런스는 “빅테크가 해외 기술인력 고용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며 “일론 머스크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정부에서 더 나아가 미국 영주권 발급을 확대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해 6월 트럼프 당선인은 한 팟캐스트 프로그램에 출연해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체류할 수 있는 자격을 얻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차기 정부에서 인공지능 분야 자문역에 임명된 스리람 크리슈난 전 트위터 임원이 영주권 요건 완화를 적극 지지해 온 인물이라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논평을 내고 “트럼프 당선인의 취업비자 완화는 올바른 정책”이라며 “미국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여야 한다”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