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 미래관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학술대회에서 통합정책 프레임워크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재는 23일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린 국제경제학회에서 ‘통합적 정책체계: 한국 통화정책 적용’을 주제로 강연을 하면서 “물가, 외환, 가계부채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 통화정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이 물가안정 목표에만 주력하지 않고 물가 외 변수까지 고려하다 금리 인상·인하기에 모두 조정 시기를 실기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기축통화를 보유하지 않은 신흥시장국은 통합적 정책체계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 총재는 통합적 정책체계가 적용된 시기로 2022년 하반기 금리 인상기와 올해 8월 기준금리 동결기를 꼽았다.
2022년 하반기 물가 급등과 함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촉발됐다.
이에 한국은행은 물가와 금융이 상충하는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하는 동시에 대출 적격담보 대상 증권 확대, 비은행 금융기관 대상 한시적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등으로 유동성을 공급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8월에는 금리 인하 여건이 조성됐음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로 인해 부동산 가격 상승과 금융 불균형 확대를 부추길 우려가 커졌다.
이에 한국은행은 정부에 거시건전성 정책을 강화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그 효과를 기다리며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을 주요 정책 목표로 추구하는 동시에 금융 안정과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를 위해 통합적 정책체계 아래 다양한 수단을 활용할 것이다”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