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보험회사들은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이 늘었지만 생명보험회사들은 실적이 악화했다.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전체 국내 보험회사들은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 6조4211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3% 늘었다.

  손해보험사 순이익 늘었지만 생명보험사는 실적 악화  
▲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3분기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에 따르면 전체 국내 보험회사들은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 6조4211억 원을 냈다.
업종별로 실적을 살펴보면 손해보험사와 생명보험사의 실적이 엇갈렸다.

손해보험사들은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 3조315억 원을 거뒀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9% 증가했다.

손해율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자동차보험료 인상 등에 영향을 받아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손해율은 3분기 기준으로 82.6%인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포인트 하락했다. 손해율이란 보험회사가 거둬들인 보험료 가운데 피해자에게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을 말한다.

이 밖에 부동산처분이익이 늘어나면서 투자영업이익도 지난해 3분기보다 4.3% 증가했다.

생명보험사들은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 3조3896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 줄었다.

부동산처분이익이 늘어난 데 영향을 받아 투자영업이익은 지난해 3분기보다 1.3% 증가했지만 지급보험금 증가율(6.7%)이 수입보험료 증가율(2.8%)을 크게 웃돌아 보험영업손실액이 5826억 원가량 늘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투자영업이익 증가는 일시적인 부동산처분이익에 따른 것인 데다 운용자산이익률이 낮아져 금리역마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보험회사들은 금리역마진 리스크와 손해율 관리를 강화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해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은 2014년 9월 3.93%에서 2015년 9월 3.86%, 올해 9월 3.55%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생명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도 같은 기간에 4.53%에서 4.22%, 3.96%로 떨어졌다.

보험회사들의 자산은 9월 말 기준으로 1022조7429억 원, 자기자본은 110조2739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자산은 10.4%, 자기자본은 18.2% 늘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