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인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운산업 장기 육성정책이 한국 조선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인도 외신에 따르면 인도 항만해운수로부 차관은 11월29일부터 12월3일까지 한국 조선 3사 야드를 방문해 각 사업부 대표와 회동했다.
 
SK증권 "인도 해양산업 육성책, 한국 조선사에 수혜될지는 불투명"

▲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인도의 해양산업 장기 육성책의 일환인 국영조선소, 선박 1천 척 확보 계획과 관련해 국내 조선사들의 반사수혜를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9일 분석했다. 사진은 인도 케랄라주에 위치한 인도 최대 규모의 코친 조선소. <코친 조선소>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9일 “현 단계에서 한국 조선업으로의 반사수혜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또한 최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지지율이 낮아진 상황에서 4선 연임에 실패하면 향후 해운·조선업에 대한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인도정부는 2023년 10월 자국 해운사를 설립해 향후 10년동안 선박 1천 척을 확보해 2030년까지 세계 10위, 2047년까지 5위권 해운사로 키운다는 내용의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인도의 해양정책 ‘마리타임 인디아 비전 2030’, ‘마리타임 암리트 칼 비전’의 일환이다.

인도 정부의 선박 건조와 관련한 주요 지원방안은 선박 재활용 크레딧, 신조선가 고정 보조금이 있다. 

재활용 크레딧은 인도에서 폐선(스크랩) 시, 향후 인도 내 조선소에서 신조 건조 시 비용을 깎아주는 제도이다. 신조 선가 고정 보조금은 선종별로 기본 20%, 최대 30%의 보조금을 주는 제도다.

한 연구원은 “이러한 지원책은 2034년 3월까지 제공되며 2047년까지 연장 가능할 것”이라며 “지원책을 감안하더라도 계획한 1천 척 가운데 신조 규모가 클지는 의문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글로벌 백로그(현 수주잔고 물량의 건조가 모두 끝나는 기간)은 3.5년으로 제한된 건조 슬롯으로 높은 신조 선가가 계속돼 발주금액이 부담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조선사의 인도시장 진출도 현 단계에서는 높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인도 국영가스회사가 2015 년계획한 총 10조 원 규모의 LNG운반선 건조 프로젝트에서 삼성중공업이 기술 이전과 건조협약을 체결했으나 선주들이 건조대신 용선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수주가 무산된 적이 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