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카카오가 주 1회 재택근무 부활을 포함한 노사 합의안을 마련했다.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노동조합(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과 회사 측이 마련한 잠정 합의안이 지난 18일 노동 조합원 투표를 통과했다.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 가운데 78%가 참여했으며 찬성률은 62%로 집계됐다.
합의안에는 △주 1회 재택근무 도입 △비과세 식대 20만 원 인상 △졸업 경조 휴가 명문화 등 노조가 요구했던 내용들이 담겼다.
재택근무를 할 때 사전 보고를 하는 등 근태 강화 조치도 함께 담겼다.
노사 합의안은 날인을 거쳐 이후 최종 공표된다.
노조 측은 최종 날인 전인 만큼 정확한 문구는 바뀔 수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해 일부 재택근무를 허용했지만, 올해 초 정신아 대표가 취임한 뒤 전원 출근제로 전환됐다. 재택근무제 부활과 코어타임제 도임을 두고 노사는 갈등을 벌여왔다. 정희경 기자
2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노동조합(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카카오지회)과 회사 측이 마련한 잠정 합의안이 지난 18일 노동 조합원 투표를 통과했다.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 가운데 78%가 참여했으며 찬성률은 62%로 집계됐다.

▲ 카카오 노사가 주 1회 재택근무를 비롯한 임금·단체협약안에 사실상 합의했다.
합의안에는 △주 1회 재택근무 도입 △비과세 식대 20만 원 인상 △졸업 경조 휴가 명문화 등 노조가 요구했던 내용들이 담겼다.
재택근무를 할 때 사전 보고를 하는 등 근태 강화 조치도 함께 담겼다.
노사 합의안은 날인을 거쳐 이후 최종 공표된다.
노조 측은 최종 날인 전인 만큼 정확한 문구는 바뀔 수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지난해 일부 재택근무를 허용했지만, 올해 초 정신아 대표가 취임한 뒤 전원 출근제로 전환됐다. 재택근무제 부활과 코어타임제 도임을 두고 노사는 갈등을 벌여왔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