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트럼프 정부에서 펼쳐질 에너지정책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경계하며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17일 서울 여의도 매리어트호텔에서 열린 제7차 에너지정책포럼에서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에너지정책 환경의 불확실성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며 “기후변화체제와 셰일가스 등 자원개발부문에서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학식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발제를 통해 “트럼프 에너지정책은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에너지정책”이라며 “미국 내 석유·가스 등 생산을 확대하고 에너지·환경규제를 철폐해 에너지 독립과 고용확대를 추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의 성장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세계적인 변화 추세 전체를 놓고 볼 때 지나치게 비관할 필요가 없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우 차관은 “신재생에너지 등 클린에너지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될  우려가 있지만 미국과 태양광, 스마트그리드 등 클린에너지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 차관은 또 “셰일가스 생산확대 등에 발맞춰 우리 민간기업들이 자원개발사업 진출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정부는 미국의 정책방향을 예단하기보다 지속적으로 실제 정책구현 과정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또 관련 전문가와 업계의 이야기를 수시로 듣고 대응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방침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