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트럼프] 제약바이오 '아메리카 퍼스트' 영향 미미, 생물보안법안으로 수혜 기대

▲ 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사진)이 강조한 '아메리카 퍼스트'에서도 국내 바이오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0월28일(현지시각)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매카미시 파빌리온에서 개최된 선거 유세에 참석한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앞으로 미국 정부의 정책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조 바이든 미국 현 대통령 시기에 추진됐던 약가 인하와 필수의약품의 자국 생산 필요성에 큰 틀에서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세부 방식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부정적 영향이 없다고 안심하기도 힘들어 보인다.

다만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부터 추진된 생물보안법안에는 오히려 속도가 붙어 국내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서둘러 볼 가능성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7일 비즈니스포스트 취재를 종합하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하더라도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시선이 많다.

트럼프 당선인이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됐을 때부터 내세운 ‘미국 우선주의(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의 영향이 제약바이오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뜻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글로벌 무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가장 우선시한다는 원칙 아래 관세 인상 등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에게 관세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리포트를 내고 “국내 바이오기업은 지적 재산권을 바탕으로 로열티 매출을 확보하기 때문에 관세 문제에서 자유롭다”며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들도 제조 서비스요금 매출로 관세를 적용받지 않는다”고 바라봤다.

산업연구원(KIET)도 “한국은 의약품 교역 규모와 특성상 대미 무역적자국일 뿐만 아니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근거해 의약품에 대해 추가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기 어렵다”며 “바이오의약품 수출의 경우 세계적 제약사(빅파마)의 위탁생산 수탁물량이 다수 포함돼 있어 미국의 직접적 견제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바이오의약품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집계됐다. 수출 규모는 3억93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전체 바이오의약품 수출 가운데 약 14% 규모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에서 바이오의약품을 수입하는 규모는 5억8080만 달러다. 미국에서 수입하는 규모가 더 많다는 뜻이다. 여기에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까지 고려하면 의약품과 관련해서 한국은 미국을 상대로 적자를 보고 있다.

물론 트럼프 당선인이 추진하는 약가인하 정책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생체의약품 복제약)에서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다시, 트럼프] 제약바이오 '아메리카 퍼스트' 영향 미미, 생물보안법안으로 수혜 기대

▲ 트럼프 당선인이 약가인하 정책과 관련해 어떤 정책을 추진할 지가 제약·바이오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약가인하는 제약·바이오산업 전반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으로 꼽힌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해부터 발표한 대선 공약인 ‘아젠다 47’과 트럼프 당선인이 대통령 시절 행정부 관리들로 구성된 씽크탱크에서 발간한 ‘프로젝트 2025’를 살펴보면 보건의료 정책의 큰 방향성은 약가 인하와 필수의약품 생산 자국화다.

두 문서에 약가 인하와 관련한 구체적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시절에 추진한 정책에서 앞으로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다.

트럼프 전 행정부에서는 약가 인하 계획안으로 ‘아메리칸 페이션트 퍼스트’나 행정명령 등을 추진했다. 이를 참고하면 경쟁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약가 인하를 끌어내려는 데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

현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제조사들과 약가를 협상해 직접적으로 약가인하를 추진했다면 트럼프 당선인은 복제약 사용을 촉진해 경쟁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약가 인하 정책의 직접적 영향력은 약해질 수 있다”며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 및 바이오시밀러(생체의약품 복제약) 사용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국내 기업들에 대한 반사 이익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 오히려 바이오시밀러 사이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김선아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은 정부가 직접 약가를 통제하기 보다 국제가격 비교를 통해 최혜국 수준으로 자발적으로 약가를 인하하거나 의약품 도매가격을 표시하는 제약사에 대한 인센트브를 부여해 자발적 가격 조정을 유도하는 방식”이라며 “의약품이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가 강하기 때문에 바이오시밀러 회사들 끼리 가격 경쟁이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국 바이오기업을 견제하는 내용이 담긴 생물보안법안은 예정대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됐다.

해당 법안이 공화당에서 추진한 데다 초당적 법안이라는 점에서다.

현재 미국 하원을 통과한 생물보안법안은 중국과 연계된 기업에 지금 이동을 금지하며 해당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차단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정승용 경기도과학진흥원 연구원은 “미국 바이오기업의 중국 의존도는 79%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중국 견제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생물보안법안 제정 등의 정책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은 바이오의약품 및 핵심 원료 공급망의 다변화와 자국 내 의약품 생산 능력 확충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을 견재하기 위해 BGI그룹 및 우시앱택,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5개 회사가 규제 대상으로 이름을 올렸다.

정 연구원은 “생물보안법안 시행으로 중국 기업의 미국 내 입지는 약화되고 국내 기업의 미국 진출 기회는 확대되지만 기업간 경쟁 과열 및 시장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며 “다만 미국의 바이오산업 내재화 강화 글로벌 바이오 공급망 불확실성 증가 등은 우리가 풀어야 할 도전 과제”라고 바라봤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