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계 인사태풍] '절절포' 우리금융 임종룡, 연말인사로 신뢰 회복 길 다시 닦나]( 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411/20241107135118_97525.jpg)
▲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연말인사로 신뢰 회복을 길을 다시 닦을지 주목된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한때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을 꼬리표처럼 따라다닌 말이다. 과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시절 범금융권 회의에서 금융당국 수장들에게 규제 완화를 강조하며 처음 내놓은 말인데 향후 임 회장의 강한 추진력을 상징하는 말로 자주 쓰였다.
우리금융은 현재 쇄신을 포기할 수 없는 상황으로 평가된다.
임 회장은 우리은행 700억 원대 횡령사건 속에 우리금융 수장에 올라 다방면의 조치를 내놓고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힘썼지만 전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등 최근 잦은 금융사고에 가로막힌 모양새다.
우리금융의 혁신을 포기하지 않는 강한 의지가 필요한 셈인데 임 회장이 연말 인사를 통해 '절절포'의 의지를 시장에서 인정받으며 신뢰 회복의 계기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7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최근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은 책무구조도 지배구조 내부 규범을 개정했다.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은 책무구조도 이달부터 시행되는 시범운영에 참여하며 규범을 모두 수정했다.
우리은행의 수정된 규범에서 눈에 띄는 것은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에 ‘은행장의 내부통제 등 총괄 관리의무 이행을 감독한다’고 명시한 점이다.
지배구조 개정에 따라 그동안 금융당국이 이사회의 견제를 강조한 점을 따른 것인데 내부 규범에 이사회의 감독 권한을 직접 명시한 만큼 은행장이 내부통제에 더욱 신경 쓸 수밖에 없다.
우리금융은 이밖에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되는 윤리내부통제위원회 구성도 준비하고 있다. 정관 개정이 필요한 사항인 만큼 주주 의결이 필요해 2025년 3월 주주총회 이후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임 회장이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여러 방책을 내놓고 있는 것인데 시장에서는 이와 별개로 연말 인사에 주목하고 있다.
내부통제와 관련한 외형적 제도가 강화하더라도 결국 이를 실행하는 것은 계열사 대표인 만큼 중대 금융사고를 겪은 CEO를 교체할지, 다시 한번 신뢰할지 눈여겨 보는 것이다.
임 회장이 우리금융에 존재하는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출신 계파 문제를 풀어낼지도 관심사다.
우리은행은 1999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합쳐져 출범한 한빛은행에 뿌리를 두는데 여전히 계파 갈등이 남아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 회장도 10월 국정감사에서 “우리은행은 여러 은행이 합쳐진 곳으로 일부 계파적 문화가 남은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임 회장은 이사회에서 우리금융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를 이끌고 있어 계열사 대표 선임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재계 인사태풍] '절절포' 우리금융 임종룡, 연말인사로 신뢰 회복 길 다시 닦나](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409/20240903202038_31019.jpg)
▲ 조병규 우리은행장.
우리금융에서는 현재 계열사 7곳 대표가 내년 초까지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 가운데 금융권의 가장 큰 관심사로는 조병규 우리은행장이 꼽힌다.
조병규 행장은 지난해 임 회장 취임 이후 이른바 행장 오디션을 거쳐 선임되며 임 회장의 큰 신뢰를 받았다. 하지만 올해 대형 금융사고가 연달아 터지면서 연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통상적으로 행장 후보에 계열사 대표가 포함된다는 점도 조 행장 연임 여부에 관심이 몰리는 이유로 꼽힌다. 우리은행장이 확정돼야 다른 계열사 대표도 순차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셈이다.
우리금융이 우리은행장 선임 절차 논의를 시작한 가운데 사외이사진은 10월31일 비공개 회동을 했지만 조 행장 연임 여부와 관련한 내용은 다루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 회장은 그동안 우리금융의 내부통제 강화를 핵심 과제로 여기고 다양한 방안을 내놨다.
취임 뒤에는 기업문화혁신 태스크포스(TF)와 그룹 내부통제 현장자문단을 출범했다. 지난해 7월에는 △내부통제 전담인력 1선 배치와 신사업 내부통제 절차 강화 △내부통제 업무 경력 필수화 △내부통제 연수 체계화·인력 확충 등의 방안을 발표했다.
임 회장은 10월 국정감사에 출석해서는 회장의 자회사 임원 인사권을 제한하고 임원 친인척 신용정보를 등록하는 등의 대책을 제시했다.
임 회장은 한껏 자세를 낮추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임 회장은 10월 국감에서 “우리금융은 절박한 상황으로 환골탈태 없이는 신뢰회복이 힘들다”며 “현재는 조직 안정과 내부통제 강화에 신경 써야 할 때로 제 잘못으로 책임져야 할 일이 있다면 지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