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자동차그룹의 부품 계열사인 현대트랜시스가 지난 6월부터 총 15차례에 걸친 노사 간 임단협 교섭을 벌였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지난달 초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지난달 8일 현대트랜시스의 최대 사업장인 충남 서산 지곡공장에서 시작된 파업은 11일에 진행된 총파업으로 확대됐다. 
 
현대차그룹 생산망 비상, 현대트랜시스 이어 현대제철 현대위아 임단협 난항

▲  현대트랜시스에 이어 현대제철과 현대위아까지 임단협 난항을 겪으면서 현대자동차 그룹의 생산망에 비상이 걸렸다.사진은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모습. <현대차그룹>


현대제철 노사도 지난 9월 상련례 이후 총 12차례의 단체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차가 좁혀지지 못하자 지난달 파업 찬반 투표를 진행해 90%가 넘는 찬성률을 받았다.

현대차그룹의 또 다른 부품 계열사인 현대위아도 지난 7월 상견례 이후 총 20차례 단체교섭을 진행했고, 4번의 본교섭 진행했지만 성과 없이 끝났다.

현대제철과 현대위아 노사는 새로운 안을 갖고 교섭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지만, 현대트랜시스와 마찬가지로 파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들 기업의 임단협 협상에서 노사 양측이 가장 크게 대립하는 지점은 성과급이다.

이들 노조는 최대 실적을 기록 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기아와 유사한 수준의 성과급을 요구하고 있다.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현대차와 비슷한 기본급 15만9800원과 작년 매출액의 2%에 달하는 성과금을 요구하고 있다. 작년 매출액의 2%는 2300억 원 수준으로, 지난해 영업이익(1170억 원)의 배에 달한다.

현대제철 노조도 기본급을 15만9800원과 개별기본급 85% 인상을 담은 안을 제시했다. 현대위아 노조는 기본급을 15만9800원으로 인상하고, 영업이익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을 사측에 제안했다.

성과급 격차에 따른 임단협 난항은 부품 계열사 간 수직계열화를 이루고 있는 현대차그룹 생산망에 영향을 준다.

대표적 예시로 현대트랜시스 노조의 파업으로 변속기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현대차 울산1공장의 일부 라인 운영이 중단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