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피스 환경감시선 아틱 선라이즈가 2024년 3월 갈라파고스 탐사 과정에서 촬영한 바다거북 모습. <그린피스> |
[비즈니스포스트] 세계 각국이 합의한 해양 보호 목표 달성 시기가 크게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그린피스는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린 제16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6)에 맞춰 기후변화와 해양 보호에 관한 보고서 두 편을 발표했다.
지난해 세계 각국은 유엔 환경 총회에서 2030년까지 세계 해양 면적 30%를 보호하겠다는 일명 30x30 목표를 담은 '글로벌 해양 조약'을 내놨는데 이와 관련한 평가가 이번 보고서에 담겼다.
그린피스가 발간한 '약속에서 실천으로: 글로벌 해양조약을 통한 30x30 목표 달성'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세계 해양 보호 면적은 2.7%에 불과해 목표에서 한참 먼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문제가 심각한 지역은 어느 국가에도 속하지 않은 공해로 전체 면적의 단 0.9%만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었다.
세계 각국이 30x30 목표를 지키려면 향후 6년 동안 매년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약 130배에 달하는 구역을 매년 보호구역으로 설정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린피스는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이번 COP16과 같은 글로벌 회의를 통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글로벌 해양조약을 서둘러 비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메간 랜들스 그린피스 정책 전문위원은 "건강한 바다는 기후변화와 각종 위협으로부터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30x30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글로벌 해양조약 발효이고 이를 위해 각국 정부는 조약 비준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 추세대로 보호구역 확대가 이어진다면 30x30 목표가 달성되는 시점은 2107년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앞서 지난 17일 그린피스는 기후변화에 해양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더 뜨거워진 바다: 글로벌 해양조약이 기후행동을 강화하는 방법'을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해양은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1970년대 대비 산소 함량이 1~2% 감소했고 산호의 73%가 백화 현상을 겪었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패이너는 "글로벌 해양조약이 비준을 통해 발효돼야 해양 보호구역을 확대하기 위한 실행 작업에 돌입할 수 있다"며 "내년 해양 보호에 관한 국제 협력을 논의하는 '아워오션콘퍼런스'가 한국에서 열리는데 개최국으로서 한국이 하루빨리 글로벌 해양조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와 외교부가 국내 절차에 속도를 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글로벌 해양조약을 비준한 국가는 현재 13개국이다. 조약이 본격적으로 발효되려면 최소 60개국 비준이 필요하다.
김 캠페이너는 "한국 정부가 비준과 더불어 공해 보호구역 확대와 관리 강화에 실질적 노력을 기울이는 등 글로벌 해양 보호 리더십을 발휘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