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케미칼과 SK가스의 합작회사인 롯데SK에너루트가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사업권을 따냈다.
롯데SK에너루트는 2022년 9월 설립됐다. 부생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 발전사업과 수소충전소를 활용한 수소운송 사업을 하고 있다.
7일 롯데케미칼에 따르면 2024년도 일반수소발전 입찰 결과 롯데SK에너루트의 △울산하이드로젠파워3호 △태화하이드로젠파워1호 △태화하이드로젠파워2호 등의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입찰 결과에 따라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의 울산공장 내에 20MW급 1기, 9MW급 2기 등 총 38MW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설치된다.
발전소는 2026년부터 20년동안 운영되며 장기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안정적 수익이 기대된다.
또 롯데화학군과 SK가스 측이 발전연료인 부생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롯데케미칼 측은 “다른 사업자들과 달리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전용 모델을 적용해 향후 청정수소 도입 시 추가 설비 변경 및 개조없이 연료 전환이 가능하다”며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울산 산업단지 내 에너지 자급자족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등 친환경 발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SK에너루트는 현재 건설 중인 울산하이드로젠파워2호를 포함해 총 4곳의 발전사업을 일반 수소발전 입찰에서 낙찰받았다.
추진 중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모두 완공되면 울산지역 약 8만 가구(4인 기준)에 연간 약 29만MWh의 전력을 공급한다.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된 울산시의 세수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재희 기자
롯데SK에너루트는 2022년 9월 설립됐다. 부생수소를 활용한 연료전지 발전사업과 수소충전소를 활용한 수소운송 사업을 하고 있다.

▲ 롯데케미칼과 SK가스의 합작회사 롯데SK에너루트는 지난달 30일 발표된 2024년도 일반수소발전에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3곳의 사업권을 따냈다. 사업권을 획득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태화하이드로젠1·2호의 조감도. <롯데케미칼>
7일 롯데케미칼에 따르면 2024년도 일반수소발전 입찰 결과 롯데SK에너루트의 △울산하이드로젠파워3호 △태화하이드로젠파워1호 △태화하이드로젠파워2호 등의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입찰 결과에 따라 롯데케미칼과 롯데정밀화학의 울산공장 내에 20MW급 1기, 9MW급 2기 등 총 38MW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설치된다.
발전소는 2026년부터 20년동안 운영되며 장기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안정적 수익이 기대된다.
또 롯데화학군과 SK가스 측이 발전연료인 부생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롯데케미칼 측은 “다른 사업자들과 달리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수소전용 모델을 적용해 향후 청정수소 도입 시 추가 설비 변경 및 개조없이 연료 전환이 가능하다”며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울산 산업단지 내 에너지 자급자족과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등 친환경 발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롯데SK에너루트는 현재 건설 중인 울산하이드로젠파워2호를 포함해 총 4곳의 발전사업을 일반 수소발전 입찰에서 낙찰받았다.
추진 중인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모두 완공되면 울산지역 약 8만 가구(4인 기준)에 연간 약 29만MWh의 전력을 공급한다.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된 울산시의 세수 증가와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