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만나 의정갈등 종식을 위한 여야의정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30일 여의도 국회 국회의장실에서 한동훈 대표를 만나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벌서 8개월이 됐고 여야의정협의체 구성도 되지않아 국민의 걱정과 불안이 크다"며 "의료계가 대화 테이블에 나와 대화하게 하는 것은 정부 역할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앞서 한 대표가 6일 한 여야의정협의체 제안이 정부와 의료계 입장차이로 성사되지 못하는 상황에 안타까움을 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우 의장은 "여야 해결방안이 일치하는 만큼 당장 만나자"고 화답한 적이 있다.
이날 대화는 우 의장측이 한 대표에게 여야의정협의체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대표는 협의체 구성이 불가능하지만은 않은 상황이라며 희망적으로 봤다.
한 대표는 "대화 시작이 문제해결의 반 이상으로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며 "의료계와 정부의 입장도 밖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는 보다 유연한 대처를, 의료계에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라는 가치를 고려해달라고 부탁했다.
모두발언 이후 우 의장과 한 대표는 비공해 회동을 진행했다.
국민의힘측에 따르면 이 회동에서 우 의장은 정부의 유연한 태도변화를 주문했다. 한 대표는 국회의장의 의료계 설득과 야당 측의 적극적 참여를 주문했다고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조충희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30일 여의도 국회 국회의장실에서 한동훈 대표를 만나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 벌서 8개월이 됐고 여야의정협의체 구성도 되지않아 국민의 걱정과 불안이 크다"며 "의료계가 대화 테이블에 나와 대화하게 하는 것은 정부 역할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앞서 한 대표가 6일 한 여야의정협의체 제안이 정부와 의료계 입장차이로 성사되지 못하는 상황에 안타까움을 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우 의장은 "여야 해결방안이 일치하는 만큼 당장 만나자"고 화답한 적이 있다.
이날 대화는 우 의장측이 한 대표에게 여야의정협의체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 대표는 협의체 구성이 불가능하지만은 않은 상황이라며 희망적으로 봤다.
한 대표는 "대화 시작이 문제해결의 반 이상으로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며 "의료계와 정부의 입장도 밖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는 보다 유연한 대처를, 의료계에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이라는 가치를 고려해달라고 부탁했다.
모두발언 이후 우 의장과 한 대표는 비공해 회동을 진행했다.
국민의힘측에 따르면 이 회동에서 우 의장은 정부의 유연한 태도변화를 주문했다. 한 대표는 국회의장의 의료계 설득과 야당 측의 적극적 참여를 주문했다고 한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