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위원회가 관련기관과 함께 불공정거래 조사를 강화한다.

금융위원회는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검찰·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과 ‘2024년 제2차 불공정거래 조사·심리기관 협의회(조심협)’를 열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시세조정 포함 불공정거래 225건 조사 중, SNS '리딩방 사건'도 주시

▲ 금융위원회는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검찰·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과 함께 불공정거래 관련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조심협은 효율적 불공정거래 대응체계를 갖추고자 구성된 관계 기관 협의체다.

이번 조심협에서는 1차 회의에 이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리딩방 사건’ 처리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금융당국은 불공정거래에 사용된 ‘텔레그램 방’ 등 주요 증거가 인멸되지 않도록 수사기관에 즉각 고발·통보해 신속한 수사가 가능하게 할 계획을 세웠다.

참여기관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나 사건과 관련해서는 임시 증권선물위원회 또는 간담회 등을 적극 활용해 집중 심리하고 결론짓는 ‘집중심리제’를 활성화하기로 합의했다.

최근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 심리 및 조사 현황과 관련해선 금융위와 금감원은 올해 8월 말 기준 모두 225건의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사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시장감시 과정에서 포착된 불공정거래 징후에 대해 4~8월 월평균 약 18건의 심리를 진행하고 있다고 알렸다. 

금융위는 “조심협에서 주요 불공정거래 현안과 조사·심리 관련 제도 개선 사항을 논의해 자본시장 공정성 확보를 목표로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