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철강업계가 저탄소 철강·알루미늄 생산을 위해 청정 전력과 그린수소 인프라 확충을 정부에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강·알루미늄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철강업계 정부에 전력·수소 인프라 확충 요구, “저탄소 철강 생산과 청정전력 조달 필요”

▲ 철강업계가 저탄소 철강·알루미늄 생산을 위해 정부에 인프라 확충을 요청했다.


회의에는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 김희 포스코홀딩스 전무, 윤호준 현대제철 상무, 이상준 서울과기대 교수 등이 참석했다.

철강업계는 저탄소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청정 전력과 그린수소의 원활한 조달 필요성을 거론하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관련 인프라를 확충해달라고 요청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공급망(scope3) 탄소 정보를 요구하는 고객사가 늘어남에 따라 제품별 탄소발자국 산정·감축 등 시스템의 전반적 고도화가 필요하다”며 “저탄소 철강·알루미늄 생산을 위해 청정 전력·그린수소의 원활한 조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한 정부의 인프라 확충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철강 제품은 고로를 이용하는 방식과 전기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전기로 방식으로 만들어진 철강 제품은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청정 전기 사용을 늘려야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민간 차원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운동 등의 환경 변화에 맞춰 해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0%를 밑돈다.

또 다른 철강업계 관계자는 “포스코 주도로 연구개발이 진행 중인 수소환원 제철 등 저탄소 기술개발과 설비 투자는 대규모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2025년까지 자사의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 설계 기술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100만 톤급 실증 생산 설비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재생, 원전, 수소 등 무탄소 전력의 공급 확대를 통해 전력의 온실가스 배출 계수를 낮추고 주요국과 함께 무탄소 전력 활용과 공정 연료·원료 무탄소 에너지 이행 기준을 조속히 마련, 업계의 투자 활성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소환원제철 도입을 위해 2030년까지 약 2천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라며 "혁신적 탄소중립 기술을 국가 전략 기술과 신성장·원천 기술로 반영해 실효성 있는 세제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