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JW중외제약이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해 혁신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연구개발(R&D) 통합 플랫폼인 ‘제이웨이브’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27일 밝혔다.
제이웨이브는 JW중외제약이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기존에 운영하던 빅데이터 기반 약물 탐색 시스템인 '주얼리'와 '클로버'를 통합하고 인공지능 모델의 적용 범위를 대폭 확장했다.
구체적으로 JW중외제약 신약연구센터와 C&C신약연구소 연구진이 웹 포탈 환경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유효 약물을 탐색하고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신약후보물질 발굴까지 신약 개발 전주기에 걸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제이웨이브는 JW중외제약이 자체 보유한 500여 종의 세포주, 오가노이드, 각종 질환 동물 모델의 유전체 정보와 4만여 개의 합성 화합물 등 생물·화학 정보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JW중외제약은 현재 내부 서버에서 가동 중인 제이웨이브를 올해 안에 공공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
또 제이웨이브를 기반으로 외부 바이오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업을 통한 신약을 개발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추진하는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인 'K-멜로디' 사업에 참여해 국내 산·학·연·병과 공동으로 ‘ADMET 연합학습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박찬희 JW중외제약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제이웨이브 가동을 통해 인공지능 플랫폼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표적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연구개발(R&D) 통합 플랫폼인 ‘제이웨이브’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고 27일 밝혔다.

▲ JW중외제약이 인공지능 기반 신약 연구개발 통합 플랫폼인 '제이웨이브'를 본격적으로 활용한다. 사진은 JW중외제약 연구원이 제이웨이브를 사용하는 모습. < JW중외제약>
제이웨이브는 JW중외제약이 자체 구축한 인공지능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기존에 운영하던 빅데이터 기반 약물 탐색 시스템인 '주얼리'와 '클로버'를 통합하고 인공지능 모델의 적용 범위를 대폭 확장했다.
구체적으로 JW중외제약 신약연구센터와 C&C신약연구소 연구진이 웹 포탈 환경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유효 약물을 탐색하고 선도물질 최적화를 통한 신약후보물질 발굴까지 신약 개발 전주기에 걸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제이웨이브는 JW중외제약이 자체 보유한 500여 종의 세포주, 오가노이드, 각종 질환 동물 모델의 유전체 정보와 4만여 개의 합성 화합물 등 생물·화학 정보 빅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JW중외제약은 현재 내부 서버에서 가동 중인 제이웨이브를 올해 안에 공공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
또 제이웨이브를 기반으로 외부 바이오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업을 통한 신약을 개발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추진하는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인 'K-멜로디' 사업에 참여해 국내 산·학·연·병과 공동으로 ‘ADMET 연합학습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박찬희 JW중외제약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제이웨이브 가동을 통해 인공지능 플랫폼 경쟁력을 기반으로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표적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