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기아가 니로EV와 레이EV에 중국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아는 12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EV3 등 7개 차종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현황을 상세하게 밝혔다.
기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8월 이후 생산된 니로EV(SG2)와 레이EV(TAM)에는 중국 CATL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2011년 1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생산된 레이EV(TAM)와 니로플러스, EV6(CV), EV6 GT, EV9(MV), 쏘울(PS EV) 등 6개 모델은 SK온 배터리가 탑재됐고 최근 출시한 EV3(SV)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했다.
니로 EV(DE)와 봉고 Ⅲ EV(PU), 쏘울(SK3 EV) 등 3개 모델은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를 이원화해 적용했다.
완성차업계의 배터리 제조사 공개 움직임은 현대자동차에서 시작됐다.
현대차는 10일 모든 전기차 모델의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고 BMW도 이번 주 안에 홈페이지를 통해 모델별 배터리 제조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벤츠코리아는 회사 정책을 이유로 납품업체의 정보를 알리지 않고 있다.
전기차 판매 상위권인 테슬라, 폭스바겐 등 수입차 업체들도 배터리 제조사를 비공개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6년부터 전기차 제조사들의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를 의무화한다. 조성근 기자
기아는 12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EV3 등 7개 차종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현황을 상세하게 밝혔다.

▲ 기아 니로EV와 레이EV에 중국 배터리 업체인 CATL의 배터리를 쓴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기아 니로EV. <기아>
기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8월 이후 생산된 니로EV(SG2)와 레이EV(TAM)에는 중국 CATL의 배터리가 탑재됐다.
2011년 1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생산된 레이EV(TAM)와 니로플러스, EV6(CV), EV6 GT, EV9(MV), 쏘울(PS EV) 등 6개 모델은 SK온 배터리가 탑재됐고 최근 출시한 EV3(SV)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했다.
니로 EV(DE)와 봉고 Ⅲ EV(PU), 쏘울(SK3 EV) 등 3개 모델은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를 이원화해 적용했다.
완성차업계의 배터리 제조사 공개 움직임은 현대자동차에서 시작됐다.
현대차는 10일 모든 전기차 모델의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고 BMW도 이번 주 안에 홈페이지를 통해 모델별 배터리 제조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벤츠코리아는 회사 정책을 이유로 납품업체의 정보를 알리지 않고 있다.
전기차 판매 상위권인 테슬라, 폭스바겐 등 수입차 업체들도 배터리 제조사를 비공개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2026년부터 전기차 제조사들의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를 의무화한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