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지는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공포, 반도건설·DL이앤씨 대응기술 개발 적극

▲ 인천 서구 청라동 제일풍경채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차량이 전소된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 사고의 위험성을 놓고 우려의 시선이 퍼지고 있다. 

반도건설, DL이앤씨 등 전기차 화재 대응 기술 개발을 진행해 온 국내 건설사들의 대응 움직임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5일 인천경찰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인천 서구 청라동 제일풍경채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합동감식을 진행하고 있다.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는 1일 오전 주차 중인 전기차에서 최초 발화해 8시간 만에 진화됐다.

화재의 영향으로 주차장 내 차량 140여 대가 전소 혹은 열손, 그을림 등 손상 피해를 봤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사고 당시 주민 100여 명이 대피했고 현재까지 사고의 영향을 받은 아파트 건물은 단전, 단수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사고 발생 일주일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이용을 금지하는 등 이번 화재 사고에 따른 사회적 불안감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전기차 보급이 확대된 상황에서 충전 중이 아니라 단순하게 주차 중인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해 사회적 파장은 더욱 컸다. 언제 어디서나 전기차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청라동 화재 사고가 발생한 차량의 차주는 경찰에 “7월29일 주차한 뒤 차량을 운행하지 않았다”고 진술했으며 경찰 역시 CCTV 분석을 통해 주차 이후 화재 발생까지 차량에 별다른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지어지는 신축 아파트 단지들은 대체로 보행자의 안전, 미관 등을 이유로 지상주차장을 별도로 두지 않는 사례가 많다는 점 역시 불안감을 높인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소화기 분사 등 일반 화재에서 쓰이는 소화 방법이 적용되지 않는 데다 소방 장비 진입이 어려운 지하주차장의 특성상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다.

아파트 입주민이 주차할 공간이 지하주차장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전기차 보급 확대가 더해지면 앞으로도 유사한 사고가 재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전기차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위험성을 놓고는 이전부터 꾸준히 문제가 되어온 만큼 관련 업계에서는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건설업계도 역시 예외는 아니다.

공기업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6월에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관련 대응방안 도출을 위해 용역을 발주했다. 올해 5월에는 용역 결과 등을 놓고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12월 수주한 과천주공 10단지 재건축에 ‘래미안 원마제스티’를 제안하며 전기차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전기차 주차구역에 방화벽체 시공 적용을 결정하기도 했다.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구체적 기술 개발에도 건설사들은 적극적 태도다.

반도건설은 2021년에 충남 내포신도시 반도유보라 주상복합 건물의 전기차 충전시설에 화재진압 설비를 적용하는 등 이미 수년 전부터 관련 기술 적용을 이어오고 있다. 반도건설의 전기차 화재진압설비는 자동작동 팬과 질식소화포를 결합한 방식이다.

DL이앤씨는 올해 4월 선박 기자재 전문 중소기업인 탱크테크와 공동 개발한 ‘건물용 전기차 화재진압 시스템’을 선보였다.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를 감지하면 해당 차량의 배터리에 구멍을 뚫고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건물용 전기차 화재진압 시스템은 현재 일부 현대자동차 생산공장, 소방서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 장소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DL이앤씨의 아파트 브랜드인 이편한세상에도 시범적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