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개봉역과 온수역 등 4곳에 공동주택 2783세대를 공급한다.
서울시는 30일 열린 제13차 건축위원회에서 ‘개봉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비롯해 모두 4건의 건축심의를 통과시켰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심의에 통과된 곳은 △개봉역 역세권활성화사업 △온수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몽촌토성 역세권장기전세주택사업 △뚝섬지구 특별계획구역(Ⅳ) 복합빌딩 신축사업이다.
모두 2783세대(공공주택 299세대, 분양주택 2484세대)의 공동주택이 공급되고 문화 및 집회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등이 건립된다.
‘개봉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주거복합 신축공사(구로구 개봉동)’는 지하철 1호선 개봉역과 경인로 지역거점에 2개동 지하 8층~지상 38충 규모로 공동주택 158세대(공공 19세대, 분양 139세대)와 공공기여시설,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개봉역 사업 심의안은 리모델링이 용이하도록 복합무량판 구조로 적용해 단위세대의 가변성을 높이고 각 실의 수평통합 및 가구분리가 가능하도록 계획됐다.
‘온수역 역세권활성화 사업(구로구 온수동)’은 지하철 1,7호선 온수역 인근에 지하 5층 ~지상 37층 규모로 공동주택 1821세대(공공 131세대, 분양 1690세대)와 오피스텔 280실, 업무시설, 판매시설 및 공공기여 시설로 교육연구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공공업무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몽촌토성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사업(송파구 방이동)’은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 인근에 지하 6층~지상 27층 규모로 공동주택 472세대(장기전세 149세대, 분양 323세대)와 근린생활시설을 구축한다.
‘뚝섬지구 특별계획구역(Ⅳ) 복합빌딩 신축사업’은 지하철 수인분당선 서울숲역 인근에 3개동, 지하 8층~지상 48층 규모로 공동주택 332세대와 5성급 관광호텔 604실, 9백여 석 규모의 다목적 공연장을 마련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앞으로도 매력넘치는 주택공간 조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안심·안전한 주거공동체를 가진 매력도시 서울로 만들기 위해 건축위원회에서 다각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
서울시는 30일 열린 제13차 건축위원회에서 ‘개봉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비롯해 모두 4건의 건축심의를 통과시켰다고 31일 밝혔다.

▲ 서울 구로구 온수역 역세권활성화 사업 투시도. <서울시>
이번 심의에 통과된 곳은 △개봉역 역세권활성화사업 △온수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몽촌토성 역세권장기전세주택사업 △뚝섬지구 특별계획구역(Ⅳ) 복합빌딩 신축사업이다.
모두 2783세대(공공주택 299세대, 분양주택 2484세대)의 공동주택이 공급되고 문화 및 집회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등이 건립된다.
‘개봉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주거복합 신축공사(구로구 개봉동)’는 지하철 1호선 개봉역과 경인로 지역거점에 2개동 지하 8층~지상 38충 규모로 공동주택 158세대(공공 19세대, 분양 139세대)와 공공기여시설,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개봉역 사업 심의안은 리모델링이 용이하도록 복합무량판 구조로 적용해 단위세대의 가변성을 높이고 각 실의 수평통합 및 가구분리가 가능하도록 계획됐다.
‘온수역 역세권활성화 사업(구로구 온수동)’은 지하철 1,7호선 온수역 인근에 지하 5층 ~지상 37층 규모로 공동주택 1821세대(공공 131세대, 분양 1690세대)와 오피스텔 280실, 업무시설, 판매시설 및 공공기여 시설로 교육연구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공공업무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몽촌토성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사업(송파구 방이동)’은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 인근에 지하 6층~지상 27층 규모로 공동주택 472세대(장기전세 149세대, 분양 323세대)와 근린생활시설을 구축한다.
‘뚝섬지구 특별계획구역(Ⅳ) 복합빌딩 신축사업’은 지하철 수인분당선 서울숲역 인근에 3개동, 지하 8층~지상 48층 규모로 공동주택 332세대와 5성급 관광호텔 604실, 9백여 석 규모의 다목적 공연장을 마련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앞으로도 매력넘치는 주택공간 조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안심·안전한 주거공동체를 가진 매력도시 서울로 만들기 위해 건축위원회에서 다각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