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디스플레이가 올해 2분기 큰 폭의 매출 증가와 손익 개선을 이뤘다.
LG디스플레이는 25일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매출 6조7082억 원, 영업손실 93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와 비교해 28%, 전년 동기와 비교해 42%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89.4%나 줄었다. 올 1분기 영업손실 4694억원에 비해서도 대폭 줄었다.
증권가는 당초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영업손실이 2천억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2분기 당기순손실은 4708억 원, 감가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1조2868억 원(이익률 19.2%)으로 집계됐다.
매출 증가에는 최근 수요가 늘고있는 올레드(OLED) 제품 비중이 52%까지 확대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회사 측은 IT용 OLED 양산 본격화와 대형 OLED 생산 확대 등 OLED 중심의 사업구조 변화와 우호적 환율 영향에 따라 영업손실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는 회사가 3분기에 영업이익 약 800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만에 흑자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4분기 영업이익은 약 4400억원으로 추정했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관리자(CFO)는 “시장과 대외 환경의 변동성은 지속되겠지만, 사업구조 고도화 성과 지속 확대하고 운영 효율화 통해 실적 개선세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호현 기자
LG디스플레이는 25일 2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매출 6조7082억 원, 영업손실 93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와 비교해 28%, 전년 동기와 비교해 42% 증가했다.

▲ LG디스플레이는 25일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큰 폭의 매출 증가와 손익 개선을 이뤘다고 밝혔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89.4%나 줄었다. 올 1분기 영업손실 4694억원에 비해서도 대폭 줄었다.
증권가는 당초 LG디스플레이의 2분기 영업손실이 2천억 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매출 증가에는 최근 수요가 늘고있는 올레드(OLED) 제품 비중이 52%까지 확대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회사 측은 IT용 OLED 양산 본격화와 대형 OLED 생산 확대 등 OLED 중심의 사업구조 변화와 우호적 환율 영향에 따라 영업손실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증권가는 회사가 3분기에 영업이익 약 800억 원으로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만에 흑자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4분기 영업이익은 약 4400억원으로 추정했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관리자(CFO)는 “시장과 대외 환경의 변동성은 지속되겠지만, 사업구조 고도화 성과 지속 확대하고 운영 효율화 통해 실적 개선세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