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2500’이 내년 출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궈밍치 대만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18일 X(트위터)에 “삼성의 예상보다 낮은 3나노 수율로 '엑시노스2500'이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따라 퀄컴은 갤럭시S25의 유일한 AP 공급업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4나노 공정을 활용한 엑시노스2400을 출시, 갤럭시S24 시리즈의 기본형 모델과 플러스 모델에 탑재됐다.
갤럭시S24 시리즈의 약 40%에는 엑시노스2400이, 60%에는 퀄컴 스냅드래곤8 3세대가 들어간 것으로 추산된다.
삼성전자는 2025년 초에 출시하는 '갤럭시S25 시리즈'에 들어갈 자체 AP ‘엑시노스2500’을 3나노 공정으로 개발하고 있다.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지난해 말 “차기 엑시노스 제품에는 게이트올어라운드(GAA) 3나노 공정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낮은 3나노 공정의 수율이 엑시노스2500 출시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와 그 결과가 주목된다.
해외 IT매체 WCC테크는 “삼성전자가 엑시노스 브랜드의 명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찾기 위해선 3나노 공정의 수율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양산은 아직 수개월 시간이 남았고, 그때까지 수율을 65%까지 높인다면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가 엑시노스2500을 출시하지 못한다면 퀄컴은 차세대 '스냅드래곤8 4세대’의 가격을 최대 30%까지 인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는 대만 TSMC의 3나노 공정으로 제조된다.
궈밍치 연구원은 “퀄컴은 삼성 갤럭시S25 내 AP 점유율 증가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TSMC도 스냅드래곤8 4세대의 독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급업체인 만큼 퀄컴 수주 증가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
궈밍치 대만 TF인터내셔널증권 연구원은 18일 X(트위터)에 “삼성의 예상보다 낮은 3나노 수율로 '엑시노스2500'이 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따라 퀄컴은 갤럭시S25의 유일한 AP 공급업체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가 개발하고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2500'이 낮은 3나노 파운드리 미세공정 수율 때문에 출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해외 IT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는 올해 4나노 공정을 활용한 엑시노스2400을 출시, 갤럭시S24 시리즈의 기본형 모델과 플러스 모델에 탑재됐다.
갤럭시S24 시리즈의 약 40%에는 엑시노스2400이, 60%에는 퀄컴 스냅드래곤8 3세대가 들어간 것으로 추산된다.
삼성전자는 2025년 초에 출시하는 '갤럭시S25 시리즈'에 들어갈 자체 AP ‘엑시노스2500’을 3나노 공정으로 개발하고 있다.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은 지난해 말 “차기 엑시노스 제품에는 게이트올어라운드(GAA) 3나노 공정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낮은 3나노 공정의 수율이 엑시노스2500 출시에 걸림돌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와 그 결과가 주목된다.
해외 IT매체 WCC테크는 “삼성전자가 엑시노스 브랜드의 명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찾기 위해선 3나노 공정의 수율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며 “양산은 아직 수개월 시간이 남았고, 그때까지 수율을 65%까지 높인다면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가 엑시노스2500을 출시하지 못한다면 퀄컴은 차세대 '스냅드래곤8 4세대’의 가격을 최대 30%까지 인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는 대만 TSMC의 3나노 공정으로 제조된다.
궈밍치 연구원은 “퀄컴은 삼성 갤럭시S25 내 AP 점유율 증가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TSMC도 스냅드래곤8 4세대의 독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급업체인 만큼 퀄컴 수주 증가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