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언론 "SK온-포드 배터리 합작공장 가동 늦춰지면 보조금 뱉어낼 수도"

▲ SK온과 포드의 배터리 합작사가 고용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주 정부로부터 받은 보조금을 내놓아야 할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진은 켄터키주 글렌데일에 위치한 블루오벌 SK 공장 두 곳의 12일자 건설 현황. < 블루오벌 SK >

[비즈니스포스트] SK온과 포드의 미국 배터리 합작사가 공장 가동 연기로 일정 수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지 못하면 주 정부로부터 받은 보조금을 반납해야 할 수도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다만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시기가 예정 가동 시기보다 수 년 뒤라는 점을 고려하면 보조금 반환은 가능성이 낮은 시나리오라는 관측도 나온다. 

12일(현지시각) 지역매체 WDRB에 따르면 SK온과 포드의 미국 배터리 합작사 블루오벌 SK가 고용 관련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켄터키주로부터 지원받은 2억5천만 달러(약 3431억 원)를 뱉어내야 할 수도 있다. 

블루오벌 SK는 켄터키주 글렌데일에 58억 달러(약 8조 원)를 투자해 2곳의 배터리 공장을 신설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 수요 둔화로 2공장의 가동 시점을 무기한 미룬 것으로 알려졌다. 1공장은 예정대로 2025년에 제품 생산을 시작한다.

주 정부가 보조금을 제공할 때 일정 시점까지 수천 명의 일자리를 고용하는 조건을 내걸었었는데 2공장 가동 연기로 고용도 미뤄져 지원금이 회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켄터키주 경제개발금융청에 따르면 블루오벌 SK는 2030년 12월31일까지 전체 5천 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조건으로 보조금을 수령했다. 일단 2026년에 2500명 고용 규모를 달성하고 채용을 서서히 늘려나가는 방식이다. 

블루오벌 SK 관계자는 WDRB를 통해 “고용 목표를 준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고용 조건을 맞춰야 하는 시점이 수 년 뒤라 보조금을 돌려줘야 할 사태는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도 있었다.

WDRB는 “2공장 가동 시점이 불확실하기는 하지만 블루오벌 SK가 당장 켄터키주 납세자들에 2억5천만 달러를 되돌려줘야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