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건설이 메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차를 활용한 전력중개거래 생태 조성에 본격 착수한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해 전기차 및 충·방전소 실증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총 15개 국내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전기차 수요자원화를 위한 양방향 충·방전 플랫폼 기술(V2G)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22일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전기차가 분산에너지 발전원으로, 현대건설 현대차·기아와 상용화 도전

▲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추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연계 전기차 양방향 충·방전 플랫폼 기술(V2G) 서비스 구조 개념도.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최근 한국에너지평가원에서 공고한 ‘2024년도 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공모’에서 에너지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 품목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주관사로 선정돼 후속 작업으로 업무협약을 진행했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안한 세부 연구과제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연계 V2G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전기차 수요 자원화 기술 및 서비스 생태계 구축이다. 

현재 배터리를 통해 운송수단만으로 쓰이는 전기차에 방전 기능을 추가해 전기차 배터리 자체를 에너지 저장장치(ESS)처럼 활용 가능한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실증연구는 정부로부터 약 200억 원을 지원 받고 민간 부담금까지 포함해 380억 원가량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되는 역대 최대 규모의 V2G 기술 연구과제다. 2028년까지 4년 동안 1500기 이상의 충·방전기를 설치해 V2G 실증을 수행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V2G 기술은 한정된 에너지 자원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지속가능한 기술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ESS 기능 일부를 대체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이 부족할 때 전기차 방전을 통한 부하 대응이나 잉여 전력 생산 때 전기차 충전을 통한 상쇄 등 전력의 공급 및 수요 측면에서 실시간 대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기차 사용자들은 V2G 부가기능으로 전기료 절감 및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V2G 기술 구현을 위해 전기차 제조사를 비롯해 충·방전 관련 사업자, 한국전력, 한국전력거래소 등 전력시장 운영기관, VPP(가상 전력굼)사업자, 플랫폼 IT기업 등 많은 이해관계자들 사이 협력과 기술 교류가 요구된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과 내구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충·방전기에 접속을 적극 유도할 다양한 장려책을 부여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를 V2G에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도 필요하다.

현대건설은 이런 요구사항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 V2G 과제에서 핵심 경쟁력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체 진화형 모빌리티 SDV를 제시했다. SDV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기능으로 V2G를 구현해 전기차 소유주가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충·방전 플랫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터리의 충·방전 계획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전기차 소유주가 손쉽게 충·방전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V2G와 관련된 모든 플랫폼의 상호 연동을 구현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각기 운행패턴과 사용률이 다른 전기차를 V2G로 활용할 수 있도록 통계화해 안전한 발전원으로 관리될 수 있는 운영 알고리즘도 개발한다. 한국전력의 배전망, 충·방전기, 전기차 배터리 사이 전기 흐름 및 안전한 거래가 보장될 수 있도록 표준화한 상호 운용체계도 구축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V2G 기술은 현대건설이 추구하는 VPP사업에 있어 핵심 분산에너지 자원이 될뿐 아니라 현대자동차그룹이 추구하는 SDV의 가치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을 것이다”며 “올해 6월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V2G를 활용한 다양한 분산에너지 사업모델을 제시해 전력중개거래사업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