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 플랫폼 직접구매(직구)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품질·안전성 검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손을 잡는다.

서울시는 24일 서울 중구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FITI시험연구원·KATRI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전문기관과 협업해 '해외 직구상품' 안전성 검사 확대

▲ 박상진 소비자보호팀장이 16일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청에서 인체발암 가능 물질이 검출된 해외직구 어린이용 머리띠와 시계를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와 이들 기관은 협력해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하고 검사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또 식품용 기구, 위생용품, 화장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검사도 진행한다.

안전성 검사 비용은 서울시와 각 검사기관이 절반씩 부담한다.

서울시는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에 대한 시민 불안감이 커지자 지난 4월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해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매주 품목을 선정해 안전성 검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시의적절한 안전성 검사의 범위를 확대하고 유해성이 확인된 상품의 해외직구 제품들의 유통을 차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소비자의 선택권은 충분히 보장돼야 하나 그 과정 속에 숨어있는 위협으로부터 시민의 안전한 삶을 지켜내는 것은 서울시의 책무다”며 “이번 협약 또한 다각적인 협력체계 확립의 시작이자 시민 안전이 더 철저하게 보장되는 선제적인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