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미국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에 반대, 테슬라에 악영향 우려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뜻을 전했다. 테슬라의 중국 사업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즈니스포스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전기차 수입관세 인상을 반대하는 입장을 전했다.

테슬라가 상하이에 전기차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무역보복 등 리스크에 취약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론 머스크는 23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CNBC의 기술 콘퍼런스에 참석해 “테슬라는 미국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을 원하지 않았다”며 “다소 놀라웠던 결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전기차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8월1일부터 기존 25%에서 100%로 인상한다.

중국이 현지 전기차 제조사에 막대한 보조금을 지원하며 가격이 낮은 차량의 수출 확대를 유도하고 있어 잠재적으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머스크는 “테슬라는 중국에서 관세나 정부 지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업을 잘 운영하고 있다”며 “관세 부과와 같은 조치는 선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전기차에 보조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정책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자유로운 시장 경쟁의 중요성을 강조한 셈이다.

CNBC는 머스크의 이번 발언이 1월 테슬라 콘퍼런스콜에서 언급한 내용과 온도차가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머스크는 당시 무역규제가 없다면 중국 전기차 기업들이 전 세계 경쟁사들을 사실상 무너뜨리고 말 것이라며 사실상 규제의 필요성을 지지하는 발언을 전했다.

미국 정부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인상을 두고 머스크가 돌연 부정적 태도로 돌아선 이유는 테슬라의 중국 사업에 미칠 리스크를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테슬라는 현재 중국을 전기차 주요 시장으로 두고 있으며 상하이에 대규모 생산공장도 운영한다.

중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맞서 무역보복 조치에 나선다면 테슬라와 애플 등 중국시장에 의존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을 겨냥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테슬라는 현재 중국에 공장을 증설하는 데 이어 현지 당국 및 기업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협력하는 등 중국 시장에 갈수록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무역규제가 테슬라에 미칠 잠재적 영향도 그만큼 커지고 있기 때문에 머스크가 바이든 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낼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