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생산가능인구 수가 20년동안 약 1천만 명가량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는 6일 발간한 ‘2024년 인구보고서’에서 한국 인구는 2023년 5171만 명에서 2065년 3969만 명으로, 생산가능인구는 2023년 3657만 명에서 2044년 2717만 명으로 각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가능인구 향후 20년간 1천만 명 줄어들 전망, 고령인구 2050년 1891만 명으로 최대

▲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6일 발간한 2024 인구보고서.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소비 활력을 감소시켜 내수시장의 붕괴를 일으키고 노인 부양부담을 키워 경제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등 장기 저성장 추세가 굳어지겠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2031년 중위연령(국내 인구를 나이순대로 정렬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나이)을 50.3세로 예상했다. 국민의 절반이 50세 이상이라는 의미다.

초등학교에 취학하는 7세 아동 수는 2023년 약 43만 명에서 10년 뒤인 2033년 22만 명으로 절반 수준으로 준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50년 1891만 명으로 고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인구의 40% 규모다.

2060년에는 사망자 수가 74만6천명으로 출생아 15만6천 명의 4.8배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80세 이상 초고령자 비중은 2023년 전체 인구의 4.4%(229만 명)에서 2061년에는 전체의 20.3%(849만명)으로 늘어난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인구감소로 인한 재앙은 대한민국의 존립이 달린 사안이다"며 "인구회복의 적기가 지나가면 우리 사회가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