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 그린 디지털 전환 콘퍼런스, 김상협 “AI 기반 탄소중립 주도해야”

▲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주최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콘퍼런스' 포스터. <탄녹위>

[비즈니스포스트] 정부 기관 주도로 인공지능(AI) 기술에 기반한 탄소중립 계획 실천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9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등이 행사를 공동 주관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지난해 11월 탄녹위 전체회의에서 발표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의 후속조치로 올해 2월 열린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에서 논의된 협력방안을 기반으로 추진됐다.

첫 순서로 진행된 기조강연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AI의 역할과 비전’을 주제로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 센터장이 맡았다.

이들은 AI를 통한 탄소중립 가속화를 실현하기 위해 그동안 추진해온 AI 탄소중립 기술개발 실증을 위한 집중 투자, AI 표준 마련 및 AI 서비스 산업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과학기술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LS일렉트릭 등은 통신, 정유, 제조 등에서 AI를 활용한 탄소 감축 노력을 소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화재예측, 스마트교차로 등 공공부문에 초거대 AI를 도입할 때 발생할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컨설팅 및 검증 추진 등도 논의됐다.

김상협 탄녹위원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전력망 관리, 수요예측 및 관리, 소비자 편익과 행태변화 등 탄소중립 에너지 솔루션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AI를 통해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고 이를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그 외에도 저전력·고효율·실용적 생성형 AI 서비스 전용 반도체 기술개발 및 내재화 필요성과 신뢰 가능한 AI 리스크 관리 플랫폼 구축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탄녹위는 이날 참여자들 사이에서 수출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의 그린딜 등 규제에 대비한 준비가 시급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규제에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선제 대응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전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AI 기술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대한 문제인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오늘 콘퍼런스가 AI를 활용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