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팀 쿡 애플 CEO가 사전에 정해진 계획에 따라 애플 지분을 일부 매도했다. 팀 쿡 애플 CEO가 혼합현실 헤드셋 비전프로 출시를 기념해 2월2일 미국 뉴욕 맨해튼 애플스토어를 방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나 이는 주가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예정되어 있던 거래로 파악되는 만큼 애플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5일 투자전문지 벤징가에 따르면 애플은 증권거래위원회(SEC) 보고서를 통해 팀 쿡 CEO가 4월 초에 모두 3326만 달러(약 450억 원) 가량의 주식을 매도했다고 밝혔다.
매각가는 1주당 168~170달러 안팎으로 나타났다. 4일 미국 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0.49% 떨어진 168.82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일반적으로 경영진을 포함한 내부 인사의 지분 매도는 주가에 부정적 신호로 꼽힌다. 향후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매도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벤징가는 팀 쿡의 주식 매각이 사전에 정해진 계획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이와 같은 사례로 보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미국 증권거래위는 기업 경영진이 내부 정보를 이용해 회사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일을 막기 위한 ‘10b5-1’ 규정을 채택하고 있다.
경영진이 자사 주식을 매도해 현금화하려면 이러한 규칙에 따라 사전에 매매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팀 쿡의 이번 지분 매각도 10b5-1 규정에 따라 이뤄졌다.
팀 쿡은 기업 임직원 상여금을 자사 주식으로 제공하는 RSU 제도를 통해 대량의 애플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보유한 주식은 약 328만 주로 5억5376만 달러(약 7500억 원) 규모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