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13주 연속 하락했다.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6일 조사 기준 2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2% 떨어졌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 지속으로 거래가 한산한 상황에서 개발 기대감 및 정주여건에 따른 단지별 상승·하락이 혼재돼 있다”며 “일부 급매물 위주 거래 영향으로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내렸다.
은평구(-0.06%)는 녹번·신사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도봉구(-0.05%)는 쌍문·방학동 중소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성동구(-0.04%)는 마장·하왕십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중구와 용산구는 보합세(0.00%)로 전환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2% 하락했다.
금천구(-0.05%)는 급매물 거래되며 독산·시흥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구(-0.04%)는 우면·잠원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1%)는 오금·송파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고 동작구(0.00%)는 정비사업 기대감 등이 반영돼 보합세를 나타냈다.
2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4%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6% 하락했다.
안성시(-0.17%)는 공도읍·대덕면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성남 중원구(-0.16%)는 하대원·금광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시흥시(-0.15%)는 월곶·대야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안양 만안구(-0.14%)는 안양·박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광명시(-0.13%)는 일직·소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낮아졌다.
한편 고양 덕양구(0.04%)는 향동·덕은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여주시(0.03%)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교동 등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 빠졌다.
미추홀구(-0.11%)는 학익·주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중구(-0.11%)는 중산·운서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계양구(-0.05%)는 계산·작전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서구(0.02%)는 정주여건 양호한 청라·가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연수구(0.01%)는 송도·청학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2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떨어졌다.
시도별로는 대구(-0.13%), 충남(-0.09%), 부산(-0.08%), 제주(-0.05%), 경남(-0.04%), 충북(-0.04%), 광주(-0.04%), 경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강원(0.04%)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28곳으로 3곳 줄었다. 보합지역은 10곳으로 1주 전보다 3곳 감소했고 하락지역은 140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4곳 늘었다. 류수재 기자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6일 조사 기준 2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2% 떨어졌다.

▲ 서울 아파트값이 13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의 아파트 밀집지역.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 지속으로 거래가 한산한 상황에서 개발 기대감 및 정주여건에 따른 단지별 상승·하락이 혼재돼 있다”며 “일부 급매물 위주 거래 영향으로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내렸다.
은평구(-0.06%)는 녹번·신사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도봉구(-0.05%)는 쌍문·방학동 중소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성동구(-0.04%)는 마장·하왕십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중구와 용산구는 보합세(0.00%)로 전환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2% 하락했다.
금천구(-0.05%)는 급매물 거래되며 독산·시흥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서초구(-0.04%)는 우면·잠원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1%)는 오금·송파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이어졌고 동작구(0.00%)는 정비사업 기대감 등이 반영돼 보합세를 나타냈다.
2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4%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6% 하락했다.
안성시(-0.17%)는 공도읍·대덕면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성남 중원구(-0.16%)는 하대원·금광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시흥시(-0.15%)는 월곶·대야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안양 만안구(-0.14%)는 안양·박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광명시(-0.13%)는 일직·소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낮아졌다.
한편 고양 덕양구(0.04%)는 향동·덕은동 준신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여주시(0.03%)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교동 등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 빠졌다.
미추홀구(-0.11%)는 학익·주안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중구(-0.11%)는 중산·운서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계양구(-0.05%)는 계산·작전동 구축 아파트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서구(0.02%)는 정주여건 양호한 청라·가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연수구(0.01%)는 송도·청학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2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떨어졌다.
시도별로는 대구(-0.13%), 충남(-0.09%), 부산(-0.08%), 제주(-0.05%), 경남(-0.04%), 충북(-0.04%), 광주(-0.04%), 경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강원(0.04%)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28곳으로 3곳 줄었다. 보합지역은 10곳으로 1주 전보다 3곳 감소했고 하락지역은 140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4곳 늘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