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의 기업 밸류업 정책 발표 뒤 실망 매물들이 나왔지만 저 주가순자산비율(PBR) 업종이 한국 증시를 주도하는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27일 “정부의 증시 부양책이 세제혜택 등 기업들의 실행의지를 높일 만한 구체적 지원방안은 후속대책으로 미뤄놓으면서 전날 자동차, 은행, 지주 등 저PBR주들의 주가가 동반 약세를 보였다”면서도 “다만 증시의 방향성에 큰 훼손이 없었고 저PBR업종도 주도 테마로 남아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6일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한 연구원은 “앞으로 저PBR주들의 추가 조정, 혹은 인공지능(AI)주들의 차익실현 물량 등이 출회되더라도 일시적 현상이 그칠 것이다”며 “지수의 하방 경직성은 견고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우선 정부가 낮은 주주환원율 및 기업가치 저평가 등과 같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 실행에 높은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2023년 공매도 금지, 금융투자소득세 유예,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비과세 혜택 확대 등 개인투자자를 위한 증시 활성화를 추진했다. 올해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으로 구조적 저PBR 문제를 해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 5월 안에 2차 세미나, 6월에 정책 가이드라인 확정, 9월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 개발 등 계획을 세워뒀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한 연구원은 바라봤다.
기획재정부도 법인세 감면, 자사주 소각비용 손금(세법에서 인정하는 회사 비용) 인정 등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 인센티브를 올해 여름 세제 개편안 전에 발표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한 연구원은 “저PBR 혹은 주주환원 테마는 3월 주주총회 시즌, 4월 총선 등을 비롯한 지속적 재료들도 대기하고 있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며 “적어도 상반기 중간 중간 저PBR업종이 시장 주도 테마로 다시 부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업종에 관한 중립 이하 비중 축소는 지양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한 연구원은 다만 “단기적으로 저PBR업종 추가 매도 물량, 연초 뒤 신용잔고 증가에 관한 부담 등으로 일시적 수급이탈 현상에는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2월 상승장에서 소외됐던 IT주, 성장주들로 수급이 옮겨갈 수 있는 만큼 이를 중심으로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