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내렸다.
22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9일 기준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3% 빠졌다.
부동산원은 “급매물 위주로 매수문의가 있지만 매수·매도 희망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지역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상황으로 간헐적 급매물 거래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 하락했다.
서대문구(-0.08%)는 남가좌·북아현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도봉구(-0.08%)는 창·방학동 중소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북구(-0.07%)는 미아·수유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 빠졌다.
구로구(-0.08%)는 신도림·구로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강서구(-0.05%)는 화곡·염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서초구(-0.05%)는 잠원·서초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1%)는 단지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상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월 셋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0.04%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6% 하락했다.
안양 동안구(-0.16%)는 비산·호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과천시(-0.16%)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중앙·별양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안성시(-0.15%)는 옥산동·공도읍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4%)는 덕이·주엽·대화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시흥시(-0.14%)는 배곧·정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고양 덕양구(0.18%)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도내·행신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여주시(0.04%)는 정주여건 양호한 현암동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빠졌다.
중구(-0.19%)는 운남·신흥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계양구(-0.05%)는 효성·작전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동구(-0.05%)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송림·송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남동구(-0.02%)는 간석·구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부평구(0.01%)는 직주근접 양호한 청천·산곡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2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하락했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0.12%), 부산(-0.10%), 충남(-0.09%), 제주(-0.07%), 경남(-0.04%), 광주(-0.04%)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충북(0.00%), 전북(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원(0.04%) 지역 아파트값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31곳으로 6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3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1곳 증가했고 하락지역은 134곳으로 7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
22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9일 기준 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3% 빠졌다.

▲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원은 “급매물 위주로 매수문의가 있지만 매수·매도 희망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지역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상황으로 간헐적 급매물 거래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3% 하락했다.
서대문구(-0.08%)는 남가좌·북아현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도봉구(-0.08%)는 창·방학동 중소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북구(-0.07%)는 미아·수유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2% 빠졌다.
구로구(-0.08%)는 신도림·구로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강서구(-0.05%)는 화곡·염창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서초구(-0.05%)는 잠원·서초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반면 송파구(0.01%)는 단지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상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월 셋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0.04%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6% 하락했다.
안양 동안구(-0.16%)는 비산·호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과천시(-0.16%)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중앙·별양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안성시(-0.15%)는 옥산동·공도읍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4%)는 덕이·주엽·대화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시흥시(-0.14%)는 배곧·정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고양 덕양구(0.18%)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도내·행신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여주시(0.04%)는 정주여건 양호한 현암동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빠졌다.
중구(-0.19%)는 운남·신흥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계양구(-0.05%)는 효성·작전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떨어졌다.
동구(-0.05%)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송림·송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남동구(-0.02%)는 간석·구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부평구(0.01%)는 직주근접 양호한 청천·산곡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2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5% 하락했다.
시도별로 보면 대구(-0.12%), 부산(-0.10%), 충남(-0.09%), 제주(-0.07%), 경남(-0.04%), 광주(-0.04%)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충북(0.00%), 전북(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강원(0.04%) 지역 아파트값은 상승했다.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31곳으로 6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3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1곳 증가했고 하락지역은 134곳으로 7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