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선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9월 말 내놓을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가장 주목되는 대목은 과연 조선3사체제가 계속 유지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정부가 3사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는 관측이 유력한 상황에서 3사체제를 이어갈 경우 국내 조선업의 미래가 어둡다는 지적도 계속 나온다.
◆ 정부, 3사체제 유지로 가닥잡은듯
23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9월30일경 조선업과 철강업, 유화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이 업종들에 대해 인위적 구조조정 대신 자발적 설비감축과 인수합병을 돕는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
|
|
▲ (왼쪽부터)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
특히 조선업의 경우 기존 3사체제를 유지하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은 선박, 삼성중공업은 해양플랜트, 대우조선해양은 특수선에 강점을 지닌 만큼 3사체제를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한진해운의 법정관리에 따른 후폭풍이 예상보다 거세 정부가 부담을 느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조선업계 안팎에서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정상화 추이에 따라 기존 3사체제가 2사체제로 정리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이번 경쟁력 강화방안은 조선해양플랜트협회가 6월 글로벌 컨설팅회사 맥킨지에 의뢰한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당초 맥킨지의 최종보고서가 늦어도 8월 중순까지 나올 것으로 알려졌지만 조선3사가 컨설팅 초안을 본 뒤 일부 내용에 대해 반발해 최종안이 늦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맥킨지와 조선3사는 최종안을 놓고 막판 조율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조선업 재편, 조선업 존속 위한 최선의 선택”
그러나 3사체제를 유지할 경우 국내 조선업의 경쟁력이 떨어지는 만큼 산업재편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성기종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23일 한진해운과 대우조선해양을 비교하며 조선업의 새 판을 잘 짜야 한다고 지적했다.
|
|
|
▲ 선박 건조중인 현대중공업 도크.<뉴시스> |
한진해운은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했는데 11월 말까지 회생여부가 결정된다. 그러나 물류대란이 길어질수록 한진해운의 회생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
결국 한진해운이 남아있는 일부 자산을 매각하면 현대상선이 이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해운업 구조조정이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성 연구원은 “국내 조선업계도 한진해운 사태 못지 않다”며 “과거 항공업계 재편으로 한국항공우주가 탄생했듯이 조선업 재편이 한국 조선업계의 존속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조선3사 구조조정의 핵심으로 꼽히는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채권단이 자본잠식 해소 수준의 자본확충은 할 수 있겠지만 과거처럼 적극적인 지원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채권단이 추가자구안을 요구할 것”이라고 봤다.
반면 현대중공업은 조선업 재편이 진행될 경우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꼽혔다. 현대중공업은 현재 조선3사 가운데 가장 안정적 영업실적과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성 연구원은 조선업 재편방법으로 현대중공업은 그대로 둔 채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상선부문과 해양플랜트부문을 떼어 낸 뒤 합쳐 2개의 회사를 만드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렇게 되면 상선부문에 현대중공업과 나머지 두 회사의 합병회사, 해양플랜트부문에 현대중공업과 나머지 두 회사의 합병회사가 있게 된다.
그는 “상선부문 합병회사는 경쟁력이 높아 단독생존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며 “해양플랜트부문 합병회사도 단기적으로는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