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금융이 또 다시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휩싸였다. 정치권 인사나 금융관료들이 한국증권금융의 요직을 번번이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지원 한국증권금융 사장은 26일에 시작되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낙하산 인사 논란에 대한 증인으로 나서게 됐다.

  정지원, 한국증권금융 줄줄이 낙하산 인사 해명 놓고 고심  
▲ 정지원 한국증권금융 사장.
조인근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이 최근 한국증권금융의 상근감사위원 상임이사로 선임된 데 따른 것이다.

금융회사 상근감사위원은 내부 회계의 관리현황을 감시하고 제도를 평가하는 자리인데 금융 관련 경험이 풍부한 인사가 대개 선임된다. 

특히 한국증권금융은 증권사에서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탁금을 대신 보관하는 등 ‘증권사의 은행’ 역할을 수행해 상근감사위원의 중요성도 그만큼 크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조 전 비서관은 공보처 전문위원 출신의 홍보전문가로 금융 관련 경력이 전무하다. 이 때문에 정부가 조 전 비서관을 한국증권금융에 낙하산 인사로 내려 보냈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조 전 비서관은 2004년부터 박근혜 대통령을 보좌한 측근 인사다.

정 사장도 2015년 말에 선임됐을 때 낙하산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그는 금융위원회 상임위원 출신인데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으로도 일했다.

한국증권금융 사외이사 3명 가운데 민간 증권사 출신은 한 명도 없다. 임진 이사는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출신이며 심정규 이사는 세무법인 송정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신호주 이사는 재정경제부 국장을 거쳐 한국증권업협회 상근부회장으로 일했다.

한국증권금융 관계자는 “주요 임원진은 회사 정관을 바탕으로 주주총회를 거쳐 정상적인 절차로 선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증권금융에서 2010년대에 선임한 상근감사위원 가운데 한규선 전 감사(2014년 6월~2016년 6월)를 제외한 전원이 관료 출신이다.

김희락 전 감사(2010년 6월~2012년 6월)는 국무총리실 정무운영비서관을 지냈으며 김회구 전 감사(2012년 6월~2014년 6월)는 청와대 정부비서관 출신이다.

한국증권금융은 2004년부터 사장후보를 공개모집하지만 사실상 유명무실한 절차라는 지적도 나온다. 조흥은행장 출신인 홍석주 전 사장(2004~2006년) 이후 10년 동안 정 사장을 포함한 금융위원회 출신 인사들이 사장으로 연속 선임됐다.

유정준 전 한양증권 대표이사가 2008년에 한국증권금융 사외이사로 선임된 이후 증권사 출신 사외이사를 뽑은 사례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한국증권금융은 민간금융기관이지만 한국거래소를 최대주주로 두고 있는 등 정부와 연관된 부분이 많아 ‘관피아’들이 주요 보직을 대부분 차지해 왔다”며 “주요 임원진의 연봉도 수억 원대에 이르러 낙하산 인사가 빈번하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한국증권금융 주식 11.35%를 보유하고 있다. 정부와 연관성이 깊은 우리은행(7.81%)과 KDB산업은행(5.19%) 등의 지분율도 높은 편이다.

한국증권금융 등기이사들은 상반기 보수로 1인당 평균 2억500만 원을 받았다. 상근감사위원을 포함한 감사들은 같은 기간에 1인당 평균 7400만 원을 받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