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만 개 넘는 정부서비스 이용자 계정이 해킹으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미상의 해커 조직이 국가 및 공공기관 정부 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다크웹이나 텔레그램 등을 통해 유통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5일 밝혔다.
국가정보원이 파악한 유출 규모는 1만3천 개에 이른다. 국정원은 정보가 유출된 기관에 피해 내용을 알리고,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조치했다
국가정보원은 탈취형 악성코드 '인포스틸러'가 불법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유통되며 이용자들의 컴퓨터를 감염시켰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자동저장하면 계정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 측은 "해킹 피해 예방을 위해 아이디 비밀번호 자동 저장 기능 사용을 자제하고 미심쩍은 소프트웨어 설치를 절대 삼가야 한다"고 밝혔다. 조충희 기자
국가정보원은 최근 미상의 해커 조직이 국가 및 공공기관 정부 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다크웹이나 텔레그램 등을 통해 유통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5일 밝혔다.

▲ 국가정보원이 1만 개 넘는 정부서비스 이용자 계정이 해킹된 정황을 포착했다며 보안상의 주의를 당부했다.
국가정보원이 파악한 유출 규모는 1만3천 개에 이른다. 국정원은 정보가 유출된 기관에 피해 내용을 알리고,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조치했다
국가정보원은 탈취형 악성코드 '인포스틸러'가 불법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유통되며 이용자들의 컴퓨터를 감염시켰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아이디 비밀번호 정보를 웹 브라우저에 자동저장하면 계정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 측은 "해킹 피해 예방을 위해 아이디 비밀번호 자동 저장 기능 사용을 자제하고 미심쩍은 소프트웨어 설치를 절대 삼가야 한다"고 밝혔다. 조충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