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올해 흑자전환 청신호 강해져, 정부 전기요금 방향 잡기 난감해져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전력공사의 실적 개선 전망이 많아지고 있다.

한전의 숨통이 틔어가면서 전기요금의 방향을 놓고 정부 내에서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2일 증권업계의 전망을 종합하면 한전은 지난해 4분기에 1조 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3분기에 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두 개 분기 연속으로 분기 흑자가 이어진다는 것이다. 한전은 2021년 2분기부터 2023년 2분기까지 9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봐 왔다.

한전은 올해에는 연간 기준으로도 영업이익을 내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경원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한전이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에서 시장 기대치를 뛰어 넘는 1조 원 내외의 영업이익을 낸다면 2024년에 연간 영업이익 4조8천억 원이라는 기존 전망치는 상향이 불가피하다”며 “메리츠증권은 2024년 한전 영업이익을 8조2천억 원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전은 26일 지난해 4분기 및 지난해 연간 실적을 발표한다.

한전의 실적이 뚜렷한 개선 흐름을 보이는 것은 세계적으로 에너지 원가가 하향 안정화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원가의 대표적 선행지표인 국제유가는 서부텍사스유(WTI) 기준으로 지난해 9월에 배럴당 90달러대까지 오른 뒤 12월에는 배럴당 69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들어서는 배럴당 70달러 초반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유가 흐름에 따라 국내 전력도매가격(SMP)도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의 평균 전력도매가격은 kWh당 129원 정도로 추산된다. 2022년 4분기에 kWh당 253원에서 지속적으로 하락 흐름이 이어진 데 따른 결과다.

반면 전기요금은 2022년 2분기부터 2023년 2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으로 인상됐다. 2023년 4분기에는 산업용 전기요금만 인상이 이뤄지기도 했다. 한전의 전력 판매단가는 지난해 4분기 평균 kWh당 157원 정도로 추산된다.

한전은 전력도매단가 인하와 전기요금 인상이 맞물리면서 대규모 적자의 주요 원인이었던 ‘팔면 팔수록 손해’인 역마진 상황에서 지난해 5월 이후 확실하게 벗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이제는 전기요금이 한전에 이익을 주기에 충분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한전의 재정난 해소에는 긍정적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가 전기요금의 방향성을 잡기에는 어려워졌다는 관측이 고개를 든다.

원칙대로 결정한다면 전력도매가격 하락에 맞춰 전기요금도 인하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반대로 이전에 전력도매가격이 크게 오를 때 그만큼 전기요금을 올리지 못해 한전은 여전히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오히려 전기요금 인상이 추가로 이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한전은 물론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빠른 한전의 재정 정상화, 전력망 확충 등 전력 인프라 사업 추진 등이 급한 만큼 전기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인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전기요금과 관련해 “지난해까지 전기요금을 5번 인상했는데 올해도 상황을 보면서 전기요금을 현실화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며 “결국 어느 시점에 어느 만큼 올릴지에 관한 문제”라며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할 것을 시사했다.

그는 “현재 전기요금 구조 등을 놓고 전반적으로 접근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조만간 부문별로 정리가 되면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전은 올해 1분기 전기요금 동결을 발표하면서 정부로부터 “2024년 1분기 연료비조정단가는 한전 재무상황과 연료비조정요금 미조정액이 상당한 점 등을 고려해 2023년 4분기와 동일하게 kWh당 5원을 적용한다”며 “한전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노력도 철저히 이행해 달라”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물가 관리에 공을 들이고 있는 기획재정부로서는 전기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의 인상 억제가 절실한 상황이라 동결로 전기요금의 방향을 잡은 모양새다.

지난해 1월 기준으로 물가상승률 5.2% 가운데 1%포인트는 공공요금 인상의 기여분일 정도로 공공요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기재부는 ‘2024년 경제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올해 상반기 중에는 공공요금을 동결하기로 했고 결과적으로 올해 1월 물가상승률을 2.8%로 막았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물가관계장관회의 모두 발언에서 “최근 중동지역 불안 등으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 대로 재상승하는 등 2~3월 물가는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물가상승률이 높아질 가능성에 긴장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