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10대 공공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중대재해 감축을 위해 앞장설 것을 다짐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29일 인천국제공항 서관 대회의실에서 안전보건공단, 공공기관들과 진행한 ‘고용노동부-공공기관 안전보건리더회의’에서 “50인 미만 기업에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됨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체계가 뿌리내리고 실질적으로 작동되도록 공공기관이 각별히 노력해달라”고 촉구했다.
 
한전 코레일 LH 포함 10대 공공기관, 중대재해 감축 선도적 역할 다짐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월29일 중소영세기업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관련 사업장 순회로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음식점을 방문해 숯가마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안전보건리더회의에서는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공동선언문’이 채택됐다. 

공동선언문에는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에서 규정한 사업주, 도급인, 건설공사발주자의 안전·보건 확보의무 준수 △위험성평가 중심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 및 이행  △모든 영역에서 위험성평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실시 등의 내용이 담겼다.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에 더해 국가철도공단,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환경공단 등 10대 공공기관이 공동선언문에 이름을 올렸다.

고용노동부는 선언문에 참여한 10대 공공기관의 1년 발주공사 물량(2023년 기준 1만2천 개소) 가운데 80%가 50억 원 미만인 만큼 공공부문이 모범적인 발주자 또는 도급인으로서 50인 미만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및 안전보건관리체계 현장 작동을 실질적으로 지원·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회의에서는 안전보건활동 사례 발표에 더해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한 방안과 관련한 토론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토론에서 50인 미만 사업장에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조속히 구축․이행될 수 있도록 공공부문이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지원해야 한다는 것에 의견을 모았다.

이 장관은 “오늘부터 시작하는 산업안전 대진단에 전국 83만7천 개 50인 미만 사업장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의 적극적 협업과 전폭적인 활동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김홍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