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환경부가 올해부터 배터리의 재활용 가치가 크고 효율이 높으면 전기차 보조금을 더 지급하기로 했다.

중국 배터리업체가 주로 만드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는 불이익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 배터리 효율 높고 재활용 가치 크면 보조금 더 받아, 중국산 불리

▲ 환경부가 배터리의 재활용 가치가 높은 전기차에 보조금을 더 지급하기로 했다. 사진은 충전 중인 전기차 모습. <연합뉴스>


환경부는 배터리 재활용 가치가 크고 1회 충전으로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고성능 전기차를 중심으로 보조금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업무계획을 26일 발표했다.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할 때 배터리의 재활용 가치를 고려하게 되면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이 보조금을 덜 받게될 공산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사용 뒤 재활용할 유가금속이 리튬과 인산철만 남기 때문에 리튬과 니켈·코발트·망간 등을 재처리할 수 있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보다 재활용 가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리튬인산철 배터리의 구조는 NCM 배터리보다 사용 뒤 리튬 등의 유가금속을 분리할 때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배터리 효율 측면에서도 NCM 배터리가 리튬인상철 배터리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돼 보조금 지급과정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국내 배터리 제조기업들은 NCM 배터리를 주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환경부가 재활용 가치와 효율성을 보조금 지급에 반영하는 것은 ‘중국산 배터리와 전기차 견제’로도 읽힌다.

1회 충전할 때 주행거리가 긴 전기차를 보조금 지급에서 우대하겠다는 환경부의 업무계획은 전기차 보조금 가운데 성능보조금 액수를 정하는 ‘주행거리계수’의 차등기준선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