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 투자의견이 매수로 유지됐다.
올해 4공장 가동률 램프업(생산능력 증가) 속도가 올라가면 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명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17일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를 100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16일 76만6천 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안정적 실적을 낸 데 이어 올해 수주계약이 4조2천억 원이라는 점에서 4공장 가동률이 올라가면서 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이뿐 아니라 항체-약물접합체(ADC) 관련 위탁생산(CMO) 수주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6766억 원, 영업이익 1조765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22.5%, 영업이익은 9.3% 늘어난 것이다.
이뿐 아니라 올해 수주 물량도 4조2천억 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체가동에 들어간 4공장의 생산 속도에 따라 올해 실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에도 빠른 램프업으로 별도 기준으로 상반기보다 하반기 매출이 38% 늘었다”며 “올해도 램프업 속도에 따라 실적이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올해 항체-약물접합체 제조공장도 완공을 앞두고 있어 관련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제약사의 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확보를 위한 계약들과 임상 중인 항체-약물접합체의 상업화 일정이 다가오고 있다”며 “항체-약물접합체 제조에 대한 시장 요구는 점차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은파 기자
올해 4공장 가동률 램프업(생산능력 증가) 속도가 올라가면 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 DB금융투자가 17일 삼성바이오로직스(사진)의 올해 실적과 관련해 4공장 가동률이 변수라며 목표주가와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이명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17일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를 100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는 16일 76만6천 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안정적 실적을 낸 데 이어 올해 수주계약이 4조2천억 원이라는 점에서 4공장 가동률이 올라가면서 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이뿐 아니라 항체-약물접합체(ADC) 관련 위탁생산(CMO) 수주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6766억 원, 영업이익 1조765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2년과 비교해 매출은 22.5%, 영업이익은 9.3% 늘어난 것이다.
이뿐 아니라 올해 수주 물량도 4조2천억 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체가동에 들어간 4공장의 생산 속도에 따라 올해 실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해에도 빠른 램프업으로 별도 기준으로 상반기보다 하반기 매출이 38% 늘었다”며 “올해도 램프업 속도에 따라 실적이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올해 항체-약물접합체 제조공장도 완공을 앞두고 있어 관련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제약사의 항체-약물접합체 기술 확보를 위한 계약들과 임상 중인 항체-약물접합체의 상업화 일정이 다가오고 있다”며 “항체-약물접합체 제조에 대한 시장 요구는 점차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