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주요 금융지주가 지난해 실적을 발표하며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주가 불확실성은 금융당국 압박과 부동산PF(프로젝트 파이낸싱) 위험 등으로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 주요 금융지주가 지난해 실적을 발표하며 추가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됐다. 다만 투자자 관점에서 금융당국 압박과 부동산PF 등 불확실성은 여전한 것으로 분석됐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비교적 높은 자본비율을 보유한 대형은행들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하지만 은행주 투자전략은 당국 압박과 부동산PF 등 끊임없는 불확실성과 싸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요 금융지주는 1월 말과 2월 초 사이 실적발표회를 통해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다. 그때 주주환원책으로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 등의 방안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주주환원정책은 시장 기대에 어느 정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은 연구원은 “실적과 함께 발표될 올해 주주환원정책은 시장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선에서 결정될 것”이라며 “종목별로는 KB금융 35%, 하나금융이 32%, 우리금융 30%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은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당국이 ‘상생금융’을 내걸고 은행권에 압박을 가하는 가운데 부동산PF 부실 위험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은 연구원은 “은행의 공적 역할을 강조하는 정부·금융당국의 태도는 단기 실적 변동성을 높이고 있다”며 “부동산PF와 같은 이연된 위험도 마주하기 시작했다”고 바라봤다.
그러면서 “여기에 스트레스완충자본 도입과 통화완화 정책으로 선회 가능성 등 각종 정책 부담도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이 시장 위험에 대비해 금융사에 스트레스완충자본 제도를 도입하며 추가 자본을 더 쌓을 것을 요구하는 가운데 기준금리가 내리면 은행 수익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은행 순이익은 이자이익에 크게 의존한다. 이자이익은 기준금리 인상기에는 증가하다 기준금리가 정점을 찍은 뒤로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