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가 대규모 기체 도입으로 저비용항공사(LCC) 맹주인 제주항공 추격에 나선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지난해 코로나19의 피해 회복을 마치고 올해는 각축전을 예고하고 있다. 정 대표는 기단을 적극 확대함으로서 저비용항공사 2위 자리를 굳히고 1위 제주항공과의 경쟁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티웨이항공 올해 7대 기체 도입, 정홍근 LCC업계 1위 제주항공 맹추격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이사가 올해 기재 확대 계획을 통해 'LCC 맹주' 제주항공 추격에 나섰다.


4일 티웨이항공은 중대형 기체 A330-300, B737-8, B737-800 등 모두 7대의 기체를 도입할 계획을 세웠다.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올해 기단 계획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2024년도 기단 확대 계획을 살펴보면 △제주항공 B737-8 5대 △진에어 B737-8 4대 △이스타항공 B737-8 5대 △에어프레미아 B787-9 드림라이너 2대 △에어로케이 A320 5대 등이다.

특히 중장거리 운항이 가능한 A330-300은 정 대표의 노선 전략의 핵심 기체다.

정 대표는 중장거리 노선을 티웨이항공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점찍고 취항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도입될 A330-300은 '인천-크로아티아'를 비롯한 기타 중장거리 신규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A330-300의 도입은 모험적인 시도이기도 하다. 기존 티웨이항공의 주력기체 B737-800과 운항·정비체계가 달라 조종사·정비인력 고정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어서다.

티웨이항공은 2022년 3월부터 A330-300 기체를 도입한 뒤로 몽골 울란바토르, 싱가포르, 호주 시드니,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등의 중장거리 노선에 투입했다. 해당 기체들은 도입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승객 186만9천여 명을 실어나르며 존재 가치를 증명했다.

정 대표는 올해 기단 확대를 통해 티웨이항공의 입지를 더욱 끌어올리고 제주항공과 견줄 만한 체급 갖추기에 나섰다는 시선이 나온다.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은 국내 1세대 저비용항공사로 꼽힌다. 

하지만 정 대표 선임되기 직전인 2015년 티웨이항공은 국내 5개 저비용항공사 중 꼴찌(승객 수 기준)를 기록하는 등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보긴 어려웠다.

그런데 정 대표 선임 이후 티웨이항공은 꾸준히 성장했고 2023년 3분기에는 진에어를 제치며 국내 저비용항공사 2위에 올랐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제주항공과의 간극도 점점 좁혔다.

지난해(1~11월) 국제선 운송실적을 살펴보면 제주항공이 664만명 티웨이항공이 492만 명을 싣어날랐다. 두 항공사의 운송실적 격차는 172만 명으로 2019년(1~11월) 318만 명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티웨이항공의 기단 규모가 2019년 28대로 2022년 말에는 기단규모가 30대로 오히려 늘어난 반면 제주항공의 기단 규모는 2019년 45대에서 37대까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올해 정 대표의 계획대로 기단 확대가 이뤄진다면 티웨이항공은 제주항공을 턱밑 수준까지 추격하게 되는 셈이다. 

제주항공 역시 올해 B737-8 5대를 도입할 예정인데 기존 운용기재인 B737-800 반납여부에 따라 기존 40대였던 기단 규모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티웨이항공 올해 7대 기체 도입, 정홍근 LCC업계 1위 제주항공 맹추격

▲ 티웨이항공의 A330-300 기체. 티웨이항공은 해당 기체를 올해 2대 도입해 중장거리 신규 노선에 투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정 대표는 한발 앞서 움직이며 올해 승객 유치 경쟁의 스타트를 끊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12월 말 국내 저비용항공사 가운데 가장 먼저 2024년도 하계스케쥴을 공개했다. 2일부터는 첫 월 정기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승객몰이에 들어갔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