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24년 D램 가격이 올해보다 50% 정도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백길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2일 “D램 업체들의 감산 효과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응용처별 수요 개선 효과로 메모리 공급업체들의 협상력은 강해지기 시작했다”며 “2024년 D램 가격은 50% 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D램 업체들은 2024년 자본적지출(Capex)을 올해보다 1% 정도 늘리고 첨단공정 위주의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됐다.
2024년 1분기부터 가동률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내년 상반기가 지나면서 D램 시장 내 빡빡한 수급 환경 속에서 가격 상승폭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 성장률은 각각 10% 중반대, 20% 수준에 이르러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고객들의 메모리반도체 재고는 모든 응용처에서 대부분 정상 수준에 근접했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 및 선단공정 비중 증가가 본격화함에 따라 제한적인 D램 공급 증가가 수급 개선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백 연구원은 “2024~2025년 HBM을 포함한 서버 중심의 성장과 온디바이스 구현을 위한 소비자 제품 위주의 콘텐츠 증가폭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
백길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2일 “D램 업체들의 감산 효과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응용처별 수요 개선 효과로 메모리 공급업체들의 협상력은 강해지기 시작했다”며 “2024년 D램 가격은 50% 정도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내년 D램 가격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공장.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글로벌 D램 업체들은 2024년 자본적지출(Capex)을 올해보다 1% 정도 늘리고 첨단공정 위주의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으로 예상됐다.
2024년 1분기부터 가동률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내년 상반기가 지나면서 D램 시장 내 빡빡한 수급 환경 속에서 가격 상승폭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D램과 낸드플래시 수요 성장률은 각각 10% 중반대, 20% 수준에 이르러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 고객들의 메모리반도체 재고는 모든 응용처에서 대부분 정상 수준에 근접했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 및 선단공정 비중 증가가 본격화함에 따라 제한적인 D램 공급 증가가 수급 개선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백 연구원은 “2024~2025년 HBM을 포함한 서버 중심의 성장과 온디바이스 구현을 위한 소비자 제품 위주의 콘텐츠 증가폭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