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임규준 흥국화재 대표이사 사장이 실적 개선세를 이끌고 있어 연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취임 첫해부터 흥국화재의 순이익을 크게 늘렸고 새 국제회계기준에서 수익성이 높은 장기보장성보험 판매를 확대하고 있어 실적 개선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흥국화재 호실적에 조직 안정 화두로, 임규준 연임 가능성 높아져

▲ 임규준 흥국화재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내년 3월로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으나 호실적에 힘입어 연임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흥국화재>


26일 흥국화재 안팎에 따르면 임 사장의 임기만료일이 내년 3월로 다가오고 있으나 연임할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임 사장이 눈에 띄는 실적 개선을 이뤄내고 있는 점은 연임 가능성을 높이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흥국화재는 임 사장의 취임 첫해인 2022년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뒀다.

흥국화재는 2022년 개별기준으로 2021년과 비교해 136.2% 늘어난 순이익 1465억 원을 냈다.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141.8% 증가한 1864억 원을 거뒀다.

임기 2년차인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실적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 1818억 원을 거뒀다.

이러한 호실적 행진은 올해부터 도입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서 수익성에 도움이 되는 장기보장성보험 판매를 확대하고 손해율을 개선하기 위해 공을 들여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임 사장은 올해 ‘맘편한 자녀사랑보험’과 ‘내일이 든든한 암보험’ 등 수익성이높은 장기보장성보험 판매에 주력하는 동시에 손해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힘을 쏟았다.

정원하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올해 4월 평가 보고서에서 “장기보험은 원수보험료 중 약 90%를 차지하는 등 경쟁 손해보험사들 중에서 장기보험 비중이 가장 높다”며 “인보험 중심으로 보장성보험 판매를 확대하고 있어 장기보험 중심의 보험 포트폴리오 구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흥국화재 호실적에 조직 안정 화두로, 임규준 연임 가능성 높아져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에 대한 오너 리스크가 다시 불거지고 있는 점도 임규준 흥국화재 사장의 연임에 무게가 실리게 하는 점이다. 사진은 흥국화재 사옥. <흥국화재>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에 대한 경찰 수사가 다시 시작된 것도 임 사장의 연임을 점치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 전 회장은 올해 광복절 특별복권으로 경영 활동을 다시 시작하겠다는 포부를 보이기도 했으나 현재 태광그룹 계열사를 동원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경찰은 이 전 회장을 상대로 10월24일과 11월20일 두 차례에 걸쳐 압수수색을 하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임 사장이 흥국화재 사장으로 낙점을 받았을 때에도 이 전 회장이 경영활동에 공식적으로 복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임 사장의 금융 네트웍크를 통해 조직을 안정화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었다.

최근 이 전 회장에 두고 경찰 수사가 다시 시작되고 있기 때문에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는 흥국화재의 경영 연속성과 안정화를 위해서라도 임 사장의 연임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임 사장은 정부부처와 언론계에서 폭넓게 활동해 온 인물이다. 

1963년 태어나 서울 충암고등학교와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충암고 9회 졸업생으로 충암고 출신 금융인으로 구성된 충여회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충여회는 8회 졸업생인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3월 당선되자 자진해서 해산한 것으로 전해진다.

1987년 매경미디어그룹에 입사해 매일경제신문 및 MBN에서 국제부장, 부동산부장, 증권부장, 경제부장과 국장 등을 지냈다. 2016년부터 금융위원회 대변인과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 사무국장을 역임했고 2022년 3월 흥국화재 대표이사에 올랐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