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은행권을 대상으로 상생금융 압박에 나선 가운데 공매도 전면금지 조치로 외국인 투자자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자 이탈이 현실화한다면 외국인 투자자 비중이 높은 은행주 특성상 주가 관리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 상생금융 압박에 공매도도 전면 금지돼 4대 금융그룹이 외국인 투자자 이탈에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생금융과 공매도 전면금지조치에 외국인 투자자가 떠나 은행주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우선 정부의 은행권 ‘이자장사’ 압박이 거세다. 윤석열 대통령의 10월30일 ‘은행의 종노릇’ 발언을 필두로 금융당국 주요 인사의 은행권 비판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3분기 영업이익을 비교하면 은행권 전체 이익이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차를 더한 것보다 크다”며 “반도체나 자동차 분야처럼 혁신하는 기업도 이정도 수준인데 은행산업이 과연 혁신으로 60조 원의 이자이익을 얻은 건지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전날 “금융사 이익 원천이 혁신노력의 결과라기보다는 단순히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수입 증가라는 점에서 국민 시선이 따갑다”며 “은행 등 금융권의 역대급 이자수익은 국민들 입장에서 역대급 부담 증대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전방위 압박은 은행주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말마저 나온다. 은행의 횡재세 도입 논란이 대표적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은행 이익 확대에 대한 정치권 비판 여론이 다시 거세지고 있다”며 “횡재세 도입 논란은 결국 서민금융 출연금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2·3월 은행주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킨 독과점 행태 비판론도 재부각됐다”고 바라봤다.
▲ 김주현 금융위원장(오른쪽)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왼쪽)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매도 전면금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여기에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가 장기적으로 코스피 시장 외국인 투자자 이탈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은행주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날 보고서에서 “과거 공매도 금지 시기에 주가는 반등한 경우가 있었다”며 “다만 공매도 금지 조치 영향으로 보기는 어렵고 공매도 금지 조치는 외국인 자금 이탈 등 다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날 보고서에서 “단기적으로는 숏커버링 효과로 외국인 매수가 우위를 보이며 주가 상승폭이 확대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주식시장 가격발견효과와 유동성 공급 등 공매도 긍정적 효과를 저해한다는 점에서 한국 주식시장이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에 포함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우려가 있다”고 바라봤다.
공매도는 선진화된 시장에서는 활성화돼 있는 제도인데 이를 중단시켜 외국인투자자가 국내 주식시장에 지닌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4대 금융지주는 당장 긴장할 수밖에 없게 됐다. 4대 금융지주 외국인 지분율은 민영화를 마친지 얼마 안 된 우리금융지주를 제외하면 코스피시장에서도 매우 높은 편이다.
전날 기준 KB금융지주의 외국인지분율은 72.78%로 코스피시장에서 5위였다. 하나금융지주는 68.52%로 7위였고 신한지주는 59.79%로 16위였다.
주가부양은 특히 올해 은행권 핵심으로 떠오른 주주환원의 핵심이기도 하다.
4대 금융은 모두 매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보통주자본비율(CET1) 등의 여유자본 목표 등을 제시하며 주주환원책을 설명하며 자사주 소각을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