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헝 보마카라 캄보디아중앙은행(NBC) 은행감독국 제1부국장이 캄보디아가 한국 금융회사에 기회의 땅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하며 확장일로에 있는 캄보디아 디지털 결제시장으로의 적극적인 참여를 주문했다.
캄보디아 금융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한국 금융당국과 금융회사의 조언도 구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3 BP금융포럼, 다시 뛰는 K-금융: 아세안 국가 생산적 현지화 전략’에서 ‘캄보디아 디지털 금융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디지털 결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글로벌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데 한국 원화도 이런 네트워크에 참여하기를 바란다”며 “K-은행의 기술력이 캄보디아에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빠른 경제성장과 디지털 금융 확산에 힘입어 금융산업 역시 빠르게 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전 세계적으로 6번째로 성장이 빠른 나라”라며 “1998년 금융위기 이후 매년 평균 7%가량 성장하며 지역 내에서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2023년 경제가 5.6%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으나 2021년 3.0%, 2022년 5.2%를 거쳐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FTA(자유무역협정)를 지속해서 체결해 나가고 있어 수출시장이 많이 열릴 것이다”며 “특히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는 지금까지 제일 큰 협정으로 많은 기업과 투자 기회가 제공될 것이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인터넷 보급률은 67.5%, 전체 인터넷 이용자수는 1137만 명, 올해 기준 SNS사용자는 1095만 명으로 인터넷 접근성도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에서는 키오스크 안 쓰고 그냥 프론트에서 큐알코드로 결제하는 경우가 더 많다”며 “핀테크가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디지털 금융부문에서 라오스 등 해외국가와 유니온페이 등 해외 금융기관과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해외결제 관련해 협력을 계속 확장해나가고 있다”며 “한국 금융당국의 도움 등으로 한국과도 협력을 확대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
캄보디아 금융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한국 금융당국과 금융회사의 조언도 구했다.
![[BP금융포럼] 캄보디아 중앙은행 부국장 헝 보마카라 "디지털 결제에 한국 참여 확대 기대"](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310/20231025171259_41966.jpg)
▲ 헝 보마카라 부국장이 25일 열린 ‘2023 BP금융포럼’에서 청중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2023 BP금융포럼, 다시 뛰는 K-금융: 아세안 국가 생산적 현지화 전략’에서 ‘캄보디아 디지털 금융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디지털 결제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글로벌 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는데 한국 원화도 이런 네트워크에 참여하기를 바란다”며 “K-은행의 기술력이 캄보디아에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빠른 경제성장과 디지털 금융 확산에 힘입어 금융산업 역시 빠르게 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전 세계적으로 6번째로 성장이 빠른 나라”라며 “1998년 금융위기 이후 매년 평균 7%가량 성장하며 지역 내에서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2023년 경제가 5.6%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으나 2021년 3.0%, 2022년 5.2%를 거쳐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FTA(자유무역협정)를 지속해서 체결해 나가고 있어 수출시장이 많이 열릴 것이다”며 “특히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는 지금까지 제일 큰 협정으로 많은 기업과 투자 기회가 제공될 것이다”고 말했다.
캄보디아 인터넷 보급률은 67.5%, 전체 인터넷 이용자수는 1137만 명, 올해 기준 SNS사용자는 1095만 명으로 인터넷 접근성도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에서는 키오스크 안 쓰고 그냥 프론트에서 큐알코드로 결제하는 경우가 더 많다”며 “핀테크가 새로운 디지털 시대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캄보디아는 디지털 금융부문에서 라오스 등 해외국가와 유니온페이 등 해외 금융기관과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헝 보마카라 부국장은 “캄보디아는 해외결제 관련해 협력을 계속 확장해나가고 있다”며 “한국 금융당국의 도움 등으로 한국과도 협력을 확대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