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집단대출을 억제하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시행 이후에도 수익에 별다른 타격을 입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전에 빌려준 집단대출의 이자이익이 한동안 지속되는데다 은행들이 리스크관리도 미리 하고 있다는 것이다.

  "집단대출 규제해도 은행 수익에 주는 영향 미미"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6일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시행되면 은행의 신규 집단대출 규모는 줄겠지만 2015년에 대규모로 승인된 물량이 향후 2~3년간 순차적으로 집행된다”며 “집단대출 중심의 대출실적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집단대출은 건설회사로부터 아파트를 분양받은 입주예정자들에게 중도금이나 이주비 등을 집단으로 빌려주는 것을 말한다. 집단대출은 금융위에서 주택담보대출 심사기준을 강화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대상에 들어가지 않아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통해 집단대출 보증요건을 강화하고 소비자 1명 당 받을 수 있는 보증 건수도 4건에서 2건으로 줄였다. 그러나 집단대출 만기가 일반적으로 1~3년인 만큼 대출실적이 증가하는 기간도 여유가 아직 남아 있다.

은행들은 6월까지 누적 기준으로 집단대출 121조8천억 원을 빌려줬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조7천억 원 늘어났다.  2015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저금리와 부동산시장 활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이 집단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의 잠재위험성(리스크)을 일찍부터 관리하고 있어 가계부채 관리대책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은행들은 올해 새로 내준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70%를 분할상환과 고정금리 방식으로 빌려주고 있다. 분할상환은 돈을 빌린 시점부터 만기까지 대출원금과 이자를 매달 함께 갚는 것을 뜻하며 고정금리는 시중금리와 연동 없이 미리 결정된 금리에 따라 이자를 내는 방식이다.

박진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은행들은 가계대출잔액 가운데 평균 38.8%를 고정금리로 두고 있으며 분할상환비중도 41%에 이른다”며 “가계대출 규모가 늘어나는 속도도 이전부터 조정하고 있어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이익지표에 미칠 영향이 비교적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