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한진해운 구조조정과 관련해 체면을 구겼다.
임 위원장과 이 회장은 그동안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을 겨냥해 강력한 압박을 했는데도 한진해운이 내놓은 자구안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26일 산업은행에서 공개한 한진해운 추가 자구안에 따르면 조 회장과 한진그룹은 한진해운의 부족한 운영자금 1조 원 가운데 4천억 원만 자체적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나머지 6천억 원은 채권단에서 지원해 달라고 요청한 셈이다.
임 위원장은 10일 기자간담회에서 “한진해운은 기업정상화에 필요한 부족자금을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는데 조 회장은 이번에도 채권단에 손을 벌렸다.
임 위원장이 지속적으로 주문해 왔던 조 회장의 사재출연 방안의 경우 자구안에 들어갔지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다. 채권단의 자금지원이 선결조건인 데다 사재출연 여부도 확정되지 않았다.
임 위원장은 6월 “대주주의 책임과 관련해 사재출연이나 유상증자 혹은 기업을 포기하는 상황을 자구안에 포함하는 것이 중요한 원칙”이라며 조 회장을 겨냥해 압박했다.
이 회장도 16일 기자들에게 “한진해운과 여러 대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곧 부족자금 1조2천억 원에 대한 자구안을 낼 것”이라고 기대를 숨기지 않았지만 이번 자구안으로 빗나갔다.
산업은행이 한진해운의 추가 자구안을 공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데 임 위원장과 이 회장이 요구했던 사항들이 자구안에 크게 반영되지 않은 데 따른 불편한 마음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임 위원장과 이 회장은 한진해운에 신규자금을 지원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여러차례 강조해 왔는데 이제 이 말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 |
||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
해운업의 특성상 법정관리를 받으면 정기노선을 운항하기 힘들어져 파산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진해운이 파산할 경우 부산항의 연간 매출액이 최대 8조 원 줄어들 것으로 해운업계 관계자들은 예상한다.
한진해운 채권단이 법정관리 대신 출자전환을 선택할 경우 향후 기업 구조조정을 할 때 한진해운처럼 ‘버티면 된다’의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임 위원장과 이 회장은 한진해운을 향후 기업구조조정의 시금석으로 삼으려 했지만 미흡한 결과를 얻었다”며 “법정관리를 받게 되든 아니든 기업구조조정 현안이 잔뜩 쌓여있는 상황에서 금융위와 산업은행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