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더불어민주당이 서울-양평 고속도로에 신설되는 휴게소 운영권과 관련한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최민석 민주당 대변인은 13일 브리핑에서 “고속도로 종점이 대통령 처가 땅으로 휜 것도 모자라 이젠 휴게소가 헐값에 (윤석열 대통령의) 대학 동문 회사로 넘어갔다”며 “서울-양평 고속도로를 파면 팔수록 괴담이 나온다”고 말했다.
 
서울-양평고속도로 남한강휴게소 특혜 의혹, 민주당 “윤석열 동문 게이트”

▲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월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국회방송 국정감사 유튜브 화면 갈무리>


그러면서 “국내 208개 재정 고속도로 휴게소 중 유일무이한 사례인데 그 수혜자가 대통령의 대학 동문이라니 기가 막힌다”며 “대통령실은 처가 고속도로 게이트, 동문 휴게소 게이트 의혹에 대해 해명하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전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소영 민주당 의원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노선의 남양평IC 근처에 세워지는 남한강휴게소 운영권과 관련해 의사결정 과정이 석연치 않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서울 양평 고속도로를 보니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양평IC 근처에 만들어지고 있는 남한강휴게소의 민자사업 방식이 특이하다”며 “도로공사가 229억 원을 들여 건물을 다 지어놓은 상태이고 40억 원을 투입하면 마무리되는 사업을 뒤늦게 민자로 전환해 사업자에게 특혜를 주게 됐는데 누가 계획하고 지시한 것이냐”고 물었다.

남한강휴게소는 중부내륙고속도로 남양평IC 인근에 지어지고 있는 곳으로 서울-양평 고속도로 변경 종점인 강상면과는 1km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다.

이 의원은 남한강 휴게소의 운영권 보장구조가 기존 휴게소들과 다르다는 점을 들어 의구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바라봤다.

현재 다른 207개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경우 도로공사가 건물 및 시설비용을 100% 투자하면 운영하는 민간사업자에게 5~10년 운영권을 보장한다. 민간이 건물 및 시설비용을 100% 투자한 경우라면 민간사업자는 25년 동안 운영권을 갖게 된다.

그런데 남한강 휴게소는 도로공사가 85%의 비용을 부담하고도 15%를 투자한 민간사업자에게 15년 동안 운영권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이 의원은 “(운영권을 갖게 된) 위즈코프라는 업체는 (대표이사가) 윤 대통령과 대학 동문이라서 경제지에서 윤석열 테마주로 분류돼 주가가 폭등했던 업체”라며 “229억 원을 들인 휴게소를 사후에 민자전환한 사례는 이 휴게소가 유일하고 이 휴게소는 병산리에 있는데 왜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에만 이런 예외가 많냐”고 추궁했다.

이에 도로공사 휴게소 사업을 담당하는 김명호 영업본부장은 “(남한강 휴게소는) 현재로선 첫 시범사업”이라며 “(도로) 양방향에서 하나의 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는 인제 내린천휴게소와 비슷한 구조인데 (내린천휴게소를 운영하는 업체가) 중견업체임에도 임대 운영을 하다가 도저히 못 한다고 반납하는 상황이 벌어져 새로운 사업방식을 추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