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2023년 4분기 최대 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다지기 시작하면서 반도체 고객들의 구매 분위기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6일 “9월 D램 고정가격은 PC와 서버 모두 전월 수준을 유지했고 낸드플래시 가격은 전월보다 1% 올랐다”며 “최근 들어 고객들의 구매 센티멘트(심리) 변화가 감지된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9월 PC D램 평균 가격은 0.20달러/Gb를 기록하며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DDR5 가격은 지난 7월 상승 이후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DDR4는 5월 이후의 하락세가 일단락 됐다.
PC 업체들의 D램 재고가 여전히 높은 수준(10~16주)에 머물러 있지만 ‘삼성전자의 추가 감산 결정’과 ‘가격 변곡점 통과에 대한 공감대’로 인해 고객들의 구매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2023년 4분기 PC D램 가격은 3분기보다 4~6%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서버용 D램 가격도 DDR5 비중 확대에 힘입어 올해 4분기 4~8% 상승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됐다.
9월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은 0.05달러/GB로 전월 대비 1% 상승했다.
최근 들어 가격 인상을 위한 반도체 공급 업체들의 태도가 더욱 강경해지고 있으며 이에 일부 고객들을 중심으로 재고 확보 수요도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4분기 낸드플래시 가격은 3분기 대비 5~8% 정도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고객들의 반도체 구매 심리 변화와 제품 가격 반등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최근 이어지고 있는 주가의 기간 조정을 ‘메모리 반도체 및 소재·부품·장비 업종’에 대한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바닥을 다지기 시작하면서 반도체 고객들의 구매 분위기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6일 반도체 고객들의 구매 센티멘트가 변화하면서 2023년 4분기 최대 8%의 메모리반도체 가격반등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6일 “9월 D램 고정가격은 PC와 서버 모두 전월 수준을 유지했고 낸드플래시 가격은 전월보다 1% 올랐다”며 “최근 들어 고객들의 구매 센티멘트(심리) 변화가 감지된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9월 PC D램 평균 가격은 0.20달러/Gb를 기록하며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DDR5 가격은 지난 7월 상승 이후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DDR4는 5월 이후의 하락세가 일단락 됐다.
PC 업체들의 D램 재고가 여전히 높은 수준(10~16주)에 머물러 있지만 ‘삼성전자의 추가 감산 결정’과 ‘가격 변곡점 통과에 대한 공감대’로 인해 고객들의 구매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2023년 4분기 PC D램 가격은 3분기보다 4~6%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서버용 D램 가격도 DDR5 비중 확대에 힘입어 올해 4분기 4~8% 상승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됐다.
9월 낸드플래시 평균 가격은 0.05달러/GB로 전월 대비 1% 상승했다.
최근 들어 가격 인상을 위한 반도체 공급 업체들의 태도가 더욱 강경해지고 있으며 이에 일부 고객들을 중심으로 재고 확보 수요도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4분기 낸드플래시 가격은 3분기 대비 5~8% 정도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고객들의 반도체 구매 심리 변화와 제품 가격 반등이 나타나고 있는 만큼, 최근 이어지고 있는 주가의 기간 조정을 ‘메모리 반도체 및 소재·부품·장비 업종’에 대한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