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장의 수요 둔화와 물가 상승 압력 완화를 위해 시장의 고금리 우려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22일 "그동안 통화정책을 통해 경기 부양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제가 금융시장이나 민간 주체들에 고금리 우려를 낮췄다"며 "현 시점에서는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우려로 수요 둔화와 물가 상승 압력 완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시장의 수요 둔화와 물가 상승 압력 완화를 위해 매파적 태도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 |
연준은 20일(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5.25∼5.50%로 동결했다.
다만 금융시장은 성명서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점도표 변화에 대해 매파적으로 평가했다. 내년도 금리 인하 폭을 축소하는 전망에 고금리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연준위원들은 내년 말 금리 전망치를 6월 점도표와 비교해 0.50%포인트 높아진 5.00~5.25%로 예상했다.
이는 금리 인하가 시작되더라도 이전만큼 낮은 수준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인식으로 이어져 민간 주체들의 소비를 제한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이전보다 높은 물가와 금리 수준에 대한 고민과 이에 대한 대응 과정이 이어질 수 있다”며 “초과저축이 줄어들고 레버리지를 통한 소비 여력 완충이 이전보다 제한된다면 소비를 줄이는 과정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가계뿐만 아니라 기업도 투자를 줄일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기업 역시 높은 금리에 따른 비용 부담과 소비 수요 둔화에 대응해 고용 및 투자 계획을 보수화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바라봤다.
민간 주체들의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 미국 경제의 부진으로 이어지고 미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나설 필요성이 커진다.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려면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금리 인하가 요구되나 통화정책의 경기 부양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구조적으로 물가가 과거처럼 낮아지기 어려운 만큼 통화정책이 경기 부양의 주된 역할을 하기 어렵다”며 “정부에 의한 경기 부양을 보완하는 정도의 역할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우려로 민간 수요를 둔화시키고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특히 국제유가 수급 여건에 따라 물가 상승 압력이 높음을 고려할 때 수요 부진에 대한 우려로 유가의 오름세를 제약할 필요가 있다”며 “유가 오름세가 지속된다면 연준은 인플레이션 대응에 다시 나서야 하며 이는 경기를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준의 매파적 태도로 대응할 수 밖에 없으며 다음 주 연준위원들의 발언에서도 매파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