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복현 금융감독원 원장이 미국 기준금리 동결에도 고금리 상황이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며 시장 상황에 적시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21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그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차주의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고 금융회사의 외형확대 경쟁이나 과잉대출을 차단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고금리 장기화로 중소기업 부실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은행이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할 때 재무적 취약성 정도, 영업활동 및 사업모델의 지속 가능성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4분기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에서 비롯된 은행권의 고금리 예금 유치 경쟁이 다시 발생하고 있다며 채권시장 등을 밀착 점검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단기자금시장, 주식·채권시장, 예금·대출시장의 쏠림현상과 여·수신 경쟁 과열 여부 등을 밀착 점검해야 한다”며 “추석 및 분기말을 앞두고 자금 수요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회사의 불요불급한 자금조달 여부도 면밀히 살펴달라”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이 원장은 21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동결 이후 금융시장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 이복현 원장은 21일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사진은 20일 '퇴직연금 활성화를 위한 IRP 프로젝트 추진 업무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는 이 원장. <연합뉴스>
그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차주의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고 금융회사의 외형확대 경쟁이나 과잉대출을 차단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고금리 장기화로 중소기업 부실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은행이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할 때 재무적 취약성 정도, 영업활동 및 사업모델의 지속 가능성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4분기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에서 비롯된 은행권의 고금리 예금 유치 경쟁이 다시 발생하고 있다며 채권시장 등을 밀착 점검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원장은 “단기자금시장, 주식·채권시장, 예금·대출시장의 쏠림현상과 여·수신 경쟁 과열 여부 등을 밀착 점검해야 한다”며 “추석 및 분기말을 앞두고 자금 수요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회사의 불요불급한 자금조달 여부도 면밀히 살펴달라”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