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18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21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8일 기준 9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2% 올랐다.
부동산원은 “서울 주요지역의 개발호재 단지들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가 발생하면서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1% 올랐다.
성동구(0.20%)는 금호·응봉동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0%)는 답십리·장안동 대단지에서 집값이 상승했다.
중구(0.17%)는 신당·황학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용산구(0.17%)는 이촌·한남동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강남 11개구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13% 상승했다. 송파구(0.24%)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매수문의가 늘었고 강동구(0.18%)는 암사·강일·고덕동 대단지에서 집값이 올랐다.
강남구(0.16%)는 개발호재가 있는 대치·개포동 위주로, 양천구(0.15%)는 목동·신정동 신축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영등포구(0.14%)는 여의도·신길에서 집값이 비싸졌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은 0.17%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혼조세가 이어졌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1% 올랐다. 중구(0.37%)는 신흥동3가‧중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구(0.25%)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청라‧신현동 대단지에서 주로 집값이 상승했다.
반면 인천 동구(-0.04%)는 화수‧송현동 구축 위주로, 부평구(-0.02%)는 신규 입주예정 물량이 많은 청천‧십정동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0.21% 올랐다.
화성시(0.46%)는 오산‧반송동 등 동탄신도시 위주로, 과천시(0.43%)는 중앙동 선호단지 및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별양동에서 집값이 상승했다.
성남 수정구(0.43%)는 교통여건이 양호한 창곡‧신흥동 위주로, 하남시(0.42%)는 학암‧선동 준신축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동두천시(-0.10%)는 생연‧지행동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면서 집값이 내렸다.
9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 올랐다.
시도별로는 경기(0.21%), 세종(0.20%), 서울(0.12%), 인천(0.11%), 대전(0.10%), 경북(0.10%), 강원(0.09%) 등은 상승, 전남(-0.03%), 제주(-0.02%), 부산(-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33곳으로 지난주보다 5곳 증가했다. 보합지역은 12곳으로 일주일 전보다 1곳 늘었고 하락지역은 31곳으로 6곳 감소했다. 박혜린 기자
21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8일 기준 9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2% 올랐다.

▲ 서울 아파트값이 18주 연속 상승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들의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원은 “서울 주요지역의 개발호재 단지들을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증가하고 상승거래가 발생하면서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11% 올랐다.
성동구(0.20%)는 금호·응봉동 역세권 선호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20%)는 답십리·장안동 대단지에서 집값이 상승했다.
중구(0.17%)는 신당·황학동 중소형 평형 위주로, 용산구(0.17%)는 이촌·한남동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강남 11개구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13% 상승했다. 송파구(0.24%)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매수문의가 늘었고 강동구(0.18%)는 암사·강일·고덕동 대단지에서 집값이 올랐다.
강남구(0.16%)는 개발호재가 있는 대치·개포동 위주로, 양천구(0.15%)는 목동·신정동 신축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영등포구(0.14%)는 여의도·신길에서 집값이 비싸졌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은 0.17%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혼조세가 이어졌다.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1% 올랐다. 중구(0.37%)는 신흥동3가‧중산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구(0.25%)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청라‧신현동 대단지에서 주로 집값이 상승했다.
반면 인천 동구(-0.04%)는 화수‧송현동 구축 위주로, 부평구(-0.02%)는 신규 입주예정 물량이 많은 청천‧십정동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값은 0.21% 올랐다.
화성시(0.46%)는 오산‧반송동 등 동탄신도시 위주로, 과천시(0.43%)는 중앙동 선호단지 및 정비사업 기대감이 있는 별양동에서 집값이 상승했다.
성남 수정구(0.43%)는 교통여건이 양호한 창곡‧신흥동 위주로, 하남시(0.42%)는 학암‧선동 준신축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동두천시(-0.10%)는 생연‧지행동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면서 집값이 내렸다.
9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0.1% 올랐다.
시도별로는 경기(0.21%), 세종(0.20%), 서울(0.12%), 인천(0.11%), 대전(0.10%), 경북(0.10%), 강원(0.09%) 등은 상승, 전남(-0.03%), 제주(-0.02%), 부산(-0.01%)은 하락했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133곳으로 지난주보다 5곳 증가했다. 보합지역은 12곳으로 일주일 전보다 1곳 늘었고 하락지역은 31곳으로 6곳 감소했다. 박혜린 기자